-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맞배지붕 (4)
바람처럼 떠나다

청주 안심사 대웅전(安心寺 大雄殿) 보물 제664호 충북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사동리 271 안심사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을 인 다포집이다.이 불전은 어딘가 껑충하다는 인상을 주는데 기둥이 유난히 높은가 하고 보면 그렇지도 않다 가만히 보면 공포가 겹겹이 올라간 위에 팔작지붕이 아닌 맞배지붕이 얹히다보니 그런 느낌을 준 것인데 특이하게도 박공널과 풍판이 붙은 지붕 측면 쪽에도 공포가 돌려져 있다. 건물을 한 바퀴 돌면서 보면 뒷면 벽은 더욱 색다르다.세 칸 중 가운데 칸은 두 개의 고주 사이가 바닥부터 지붕 밑까지 모두 굵은 각재로 막혀 있고 위쪽에는 공포가 없다.양쪽 두 칸은 보통 건물들처럼 위쪽에 공포짜임이,아래쪽에는 널판문이 달려 있다.가운데 칸이 고주 두개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기..

청주보살사극락보전(淸州菩薩寺極樂寶殿)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에 있는 사찰건축. 1980년 1월 9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980년 1월 9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보살사의 절집이다. 극락보전은 불교에서 서방의 극락세계를 관장하는아미타불(阿彌陀佛)을 봉안하는 법당이다. 전형적인 금당식(金堂式) 건물인데 자연석의 주춧돌, 기둥과 지붕의 비례, 지붕골의 단순성 등에서 조선 중기 건물의 특징이 강하게 남아있다. 전하는 바로는 보살사 극락보전은 신라 진흥왕 28년(567)에 의신조사가 창건하였다고 한다. 또 《보살사중수비(菩薩寺重修碑)》에 의하면 고려 공민왕 때 보살사에 전답이 하사되었고, 조선 세조 4년(1458)에 어명으로 중수되었으며, 임진왜란 후인 숙종 9년(1683)에 ..
포항 보경사적광전(浦項 寶鏡寺寂光殿) 시도유형문화재 제254호(포항시)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중산리 622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보경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 보물 제1868호.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처마 다포식의 맞배지붕건물이다. 보경사는 신라 603년(진평왕 25)에 지명법사(智明法師)가 중국에서 유학하고 돌아와 창건한 절로, 종남산(終南山)을 등에 업고 좌우로 뻗은 내연산(內延山) 연봉에 기대어 아늑하게 배치되어 있다. 경내에는 대웅전·적광전·보제루·천왕문을 비롯하여 14동의 당우가 있는데, 적광전은 1677년(숙종 3)에 중건되었다. 외벌대로 아주 낮게 꾸민 기단 바닥에는 전(塼)을 깔고, 원좌(圓座)를 쇠시리한 방형의 주초를 놓았다. 두리기둥을 사용하여 우주(隅柱: 모서리기둥)의..
범어사대웅전(梵魚寺大雄殿) 보물 제434호 부산 금정구 청룡동 경상남도 3대 절 중 하나로 유명한 범어사는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의상대사가 통일신라 문무왕 18년(678)에 처음으로 지었다고 한다.또한 옛날 일본인이 침입했을 때에는 이곳의 승려들이 전쟁에 직접 참여하여 함께 싸우기도 했던 중요한 곳 중 하나로도 알려져 있다. 석가모니불상만을 모시는 일반 대웅전과는 달리 이곳 범어사 대웅전에는 미륵보살과 가라보살을 각각 석가모니의 왼쪽과 오른쪽에 함께 모시고 있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타버린 이 대웅전은 조선 선조 35년(1602)에 다시 지었으며 광해군 5년(1613)에는 한 차례 보수 공사가 있었다. 앞면·옆면 3칸 크기를 가진 건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