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비지정문화재 (101)
바람처럼 떠나다

여주 상구리 석불입상(驪州上九里石佛立像) 경기도 여주시 대신면 상구리에 있는 석불. 전체 높이는 260cm, 신체는 너비 70cm, 두께 30cm, 대좌는 너비 120cm, 높이 30cm이다. 미륵리마을에 매장되어 있다가 대리석 연화대좌에 안치하였다. 불상 머리에 갓을 썼고 목에 삼도가 표현되었다. 통견 법의는 어깨부에 사선으로 흐르며 가슴과 허리 아래에는 ∪자형 주름이 잡혀 있다. 가슴에 올린 오른손은 손바닥이 바깥쪽으로 향하며 엄지, 중지, 새끼손가락이 펼쳐진 채 하늘을 향한다. 땅바닥을 가리키는 왼손은 오른손처럼 엄지, 중지, 새끼손가락을 펴고 있다. 신체에 비해 손이 크게 표현된 편이다. 석불 주변에 용화사 건물과 현대가옥들이 있고 석불입상 양옆에 근래 석등 2기가 조성되었다. *두산백과자료*
학고재삼층석탑(學古齋三層石塔) 지정사항없음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50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 반출돼 80년간 개인 정원에 놓여 있던 고려시대 3층석탑이 고국에 돌아왔다. 학고재갤러리(서울 종로구 소격동)의 우찬규 대표는 “10년 동안 일본인 소장자를 설득한 끝에 구입해 지난..
영월무릉리삼층석탑(寧越武陵里三層石塔) 지정사항없음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무릉리 법흥사 들어가는 입구인 무릉리 마을 길가에 놓여 있는데, 원자리 는 아니며, 원자리인 길가 논에서 약 30m정도 옮겨 현 위치에 놓았 다고 한다. 하층기단 면석은 일변 120cm, 높이 42cm 내외의 큰 거칠 게..
영월 법흥사 석종형부도(寧越法興寺石鐘形浮屠) 지정사항 없음 강원 영월군 수주면 법흥 2리 법흥사 아무런 문양이나 명문이 없는 석종형 부도로 정상에 한 단의 선을 두르고 그 안에 큰 유두형(乳頭形)을 각출하였다. 높이는 90cm, 몸통 최대지름 64cm, 유두고 6cm, 유두지름 21cm이다. *국립..
영월 법흥사 적멸보궁(寧越法興寺寂滅寶宮) 강원 영월군 수주면 법흥 2리 지정사항 없음 사자산 법흥사 경내에 위치해 있는 본존으로서 석가모니의 진신사 리(眞身舍利)를 봉안한 보궁이다. 적멸보궁은 높고 긴 석축을 축조 하여 넓은 대지를 구축하고 그 중앙에 와가(瓦家)로 건축하였..
익산 송영구신도비(宋英耉 神道碑) 지정사항 없음 전북 익산시 왕궁면 동룡리 재촌(齋村) 송영구 신도비는 그의 묘 근처 길옆에 세워져 있다. 건립 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이정귀가 비문을 찬하고, 송준길이 비문을 썼다. 또 비문의 내용에 백사 이항복과 추포 황신의 몰후에 찬한 것으로 명기되어 있어 1619년에서 1635년(인조 13) 사이에 비문을 짓고 썼으므로 1619년에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송영구의 자는 인수(仁?), 호는 표옹(瓢翁) 또는 일표(一瓢, 혹은 白蓮居士)이다. 1584년(선조 17)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다. 임진왜란 때는 의병을 모집하기도 하였다. *국립문화재연구소자료*
익산 덕기리 석불좌상 지정사항 없음 전라북도 익산시 팔봉동 덕기리 덕기리 일명 '부처골'이라 불리우는 마을에 있는 북편의 산록에 남향하여 석불 1구가 봉안되어 있다. 실측치는 현고(現高) 1.28m, 견고(肩高) 0.53m, 전후(全厚) 0.34m이며, 두고(頭高)는 0.35m, 흉폭(胸幅)은 약 0.31m이다. 불상 ..
익산 남원사 오층석탑(南原寺 五層石塔) 지정사항 없음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제남리 143-2번지 전체적으로 파괴가 심하여 지대석도 없고 탑신도 1층뿐으로 2층과 3층 탑신은 자연석을 올려 놓았으며 4, 5층 탑신은 둥근 부토탑신이고 상륜부는 없다. 전체 높이는 3.3m, 중개석 폭은 25cm,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