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삼층석탑 (7)
바람처럼 떠나다

여주신륵사삼층석탑(驪州神勒寺三層石塔) 경기도 문화재자료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천송동, 신륵사) 단층 기단을 갖춘 평면 방형의 3층 석탑이다. 기단은 1매의 석재로 조성했는데, 각 면에는 양 우주와 탱주를 모각했다. 갑석 역시 1매의 석재로 놓았는데, 각 면 3구씩 그리고 모서리에 1구씩 모두 복엽 16판의 복련을 표현하였다. 중앙에는 낮고 높은 각형 2단의 받침을 만들어 탑신부를 놓았다. 탑신석과 옥개석(屋蓋石)은 각각 1석으로 조성되었다. 매 층 탑신석에는 양 우주를 모각했는데, 1층 탑신은 2층에 비해 3배 정도 높게 조성했다. 현재 3층 탑신석은 결실되었다. 옥개석은 3층 모두 남아 있다. 낙수면의 길이가 짧고 경사가 급해 둔중한 느낌을 주고 있다. 하면에는 1·2층은 각형 3단, 3층은 ..
각선사탑비편(弘覺禪師塔碑片) 국립춘천박물관석조광배(石造光背) 원주시출토 석조비로자나불 좌상(石造毘盧舍那佛坐像) 나한상(羅漢像) 원주시출토 철조약사여래좌상(鐵造藥師如來坐像) 원주시출토 철조석가여래좌상(鐵造釋迦如來坐像) 한송사석조보살좌상(寒松寺石造菩薩坐像) 염거화상탑지(廉居和尙塔誌) 선림원지 납석제 소탑(禪林院址 蠟石製小塔) 양양 선림원지 동종편(禪林院址 銅鍾片) 장명등(長明燈).석인상(石人像) 삼층석탑(三層石塔).배례석(拜禮石) 춘천 신매리 고인돌(春川 新梅里支石墓)
인제 한계사지(麟蹄寒溪寺址) 시도기념물 제50호 (인제군) 강원 인제군 북면 한계3리 90-4 한계사지(寒溪寺址)는 강원도 기념물 제50호이다. 인제군 북면 한계리 90-1~4번지에 위치하였으며 인제군 소유로 관리되고 있다. 한계사는 신라 제28대 진덕여왕 원년(647)에 자장율사가 창건하였으나 ..
삼층석탑(三層石塔) 시도유형문화재 제28호(성북구) 서울 성북구 성북동 97-1 간송미술관 2층 기단(基壇)을 쌓아 그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의 탑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엎어놓은 연꽃무늬를 새기고, 위층 기단에는 솟은 연꽃무늬를 조각하여 장식하였다. 탑신은 각 층 몸돌의 모서리마다 기..
삼층석탑(三層石塔)① 대구 북구 산격동 1370 경북대학교박물관 통일신라시대의 탑이다.석재는 화강암이며 2층 기단과 그 위에 올린 3층의 탑신부로 구성되어 있다.옥신석은 한 개의 돌로 만들었고 모서리에는 우주(隅柱)가 돋을새김되어 있다.옥개석은 낙수면의 경사가 급하고 추녀 끝이 가볍게 반전되어 올라가는 모습이며 옥개받침은 4단이다.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소박하면서도 전체적으로 보아 경쾌한 느낌을 준다.탑의 높이는 375cm이다. *경북대학교박물관안내문*
양양 선림원터(禪林園址) 선림원터는 좁은 산비탈 높은 축대위에 자리 잡고 있어서 자칫 방심하면 놓치고 말아 길을 되짚어 오게 되는 수가 많다.선림원터에 서고 보면 절터가 들어서기에는 좁게 여겨지지만 근방의 산간에서는 가장 넓은 터이다.그러나 '선림원禪林園址'이라는 이름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