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시도유형문화재 (6)
바람처럼 떠나다

청주보살사오층석탑(淸州菩薩寺五層石塔)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 보살사에 있는 조선 중기의 석탑. 높이 3m.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65호. 이 탑은 극락보전 앞에 서 있는데 1층기단 위에 5층의 탑신(塔身)과 상륜(相輪)을 받고 있다. 지대석(地臺石)은 1주석(柱石)으로 그 위에 면석(面石)이 아닌 3단으로 된 기단 굄을 조성하였는데, 3단의 기단 굄은 차례로 체감되었고, 그위에 상대갑석(上臺甲石)을 받고 있다. 상대갑석은 1석으로 조성되어 8판복엽(八瓣複葉)의 복련(覆蓮)이 각출(刻出)되었으며 그 상면에 탑신 굄이 1단 조출(彫出)되었다. 초층옥신(初層屋身)의 각 면에는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를 새겼으며, 그 가운데 사각형과 내원(內圓)을 음각하고 범자(梵字)를 음각하였다. 초층 옥개석(屋蓋石..

양평 사나사 원증국사탑(舍那寺圓證國師塔)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사나사에 있는 고려후기 에 조성된 석종형 불탑. 승탑. 시도유형문화재. 높이 2.7m.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2호. 경내의 산신각 옆에 서 있는 이 승탑은 고려 말기에 사나사를 중창한 원증국사의 묘탑으로 석종형의 승탑형식을 갖추고 있다. 가로 1,1m, 세로 1.1m의 방형 대좌 위에는 중심부에 연꽃 무늬를 두르고, 그 위로 석종형 탑신을 받고 있다. 탑신의 입면은 돌항아리와 같이 원만한 호형의 단면을 그리며 표면에는 아무런 무늬도 장식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정상부에는 한 차례 굴곡이 진 단면으로 탑신부를 마감하고, 그 위로 불꽃 무늬를 장식한 보주(寶珠)가 솟아 있는데 이 보주는 탑신과 한 돌로 조성되었다. 이러한 소박한 석종형 승탑은 고..

여주 포초골미륵좌불(彌勒坐佛) 경기도 시도유형문화재(1973년 07월 10일 지정) 경기도 여주시 금사면 외평리 454-1번지 경기도 여주시 금사면 외평리 대성사에 있는 고려 전기의 불상. 전체 높이(대좌 포함) 2.4m. 불상 높이 1.7m. 1973년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포초골에 전해지는 석불좌상을 1941년 지금의 대성사에 봉안하여 오고 있다. 이 불좌상은 부근에서 발견된 비석 파편에 ‘嘉慶二十四年 化主幼學田錫元…’이라고 새겨져 있어 지금까지는 순조19년(1819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그러나 불상의 양식적 특징으로 미루어 보면 그보다 훨씬 이른 고려 전기의 것으로 생각된다. 머리 위에는 사각형의 천개(天蓋)를 쓰고 연화대좌 위에 앉아 있다. 양감(量感) 있는 둥근 얼굴에는..

여주 신륵사극락보전(神勒寺極樂寶殿) 시도유형문화재 제128호(여주군) 경기 여주시 북내면 천송리 282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신륵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중창된 사찰건물. 불전. 시도유형문화재. 1985년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신륵사는 세종의 능인 영릉(英陵)의 원찰(願刹)로 지정되어 1472년(성종 3) 대규모의 중창불사를 시작하여 면모를 일신하게 되었는데, 극락보전 역시 왕릉 원찰로 지정되면서 창건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존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것을 1800년(정조 24)에 다시 중창한 것이다. 극락보전은 비록 규모는 크지 않지만, 왕실의 원찰답게 부연(浮椽)을 달아 겹처마 지붕을 만들었고, 기둥 사이에도 공간포(空間包)를 올린 다포계(..

여주 신륵사 팔각 원당형 석조 부도(驪州 神勒寺 八角 圓堂形 石造 浮屠) 시도유형문화재. 경기 여주시 북내면 천송리 282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신륵사에 있는 조선전기 팔각원당형 석조 불탑. 사리탑. 시도유형문화재. 2004년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부도는 여주 신륵사 경내의 서쪽 명부전 뒤편에 원구형(圓球形) 부도와 함께 나란히 세워져 있다. 원래 조사당 북쪽으로 형성된 낮은 구릉 너머에 있었는데, 파손과 도난 등을 우려하여 1966년 11월 현재의 자리로 옮겨졌다. 관련 기록에 의하면, 당시 3기의 부도가 옮겨졌다고 하는데, 현재는 2기만 남아 있다. 부도를 옮길 때 상대석 상면과 탑신석 하면에서 사리합(舍利盒)이 발견, 수습되었다. 사리합은 표면에 국화문(菊花紋)을 백상감(白象嵌)하고 다시..

남해향교(南海鄕校) 시도유형문화재 제222호(남해군) 경남 남해군 남해읍 북변리 586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에 있는 조선전기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시도유형문화재. 조선시대 초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모두 불타 없어진 후 1669년(현종 10)에 대성전을, 1678년(숙종 4)에 명륜당을 중수하고 그 후 1892년(고종 29)에 대성전을, 1917년에 명륜당을 지금 자리에 옮겨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1917년 4월 명륜당과 그밖의 부속건물을 옮겨왔고, 1982년 홍살문을 건립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동무·서무·내삼문·외삼문·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서문(西門)·관리사(管理舍)·홍살문·고자가(庫子家)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