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충남 천안 (7)
바람처럼 떠나다
봉선 홍경사터 비갈(奉先 弘慶寺事址 碑碣) 성환읍 못미처 다리를 건너자마자 왼쪽에 그리 크지 않은 소나무숲이 있고 그 사이에 비각이 하나 있다 안을 들여다보면 험상궂게 생긴 거북 한 마리가 등에 비석을 짊어진 채 고개를 외로 틀고 노려보고 있다 이것이 봉선 홍경사터 비갈(奉先 ..
천안 만일사 오층석탑(天安晩日寺五層石塔) 천안시 문화재자료 제254호 충남 천안시 성거읍 천흥리 만일사 영산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원래는 법당 앞에 있었으나 법당을 새로 보수하면서 이곳으로 옮겨놓았다. 널찍한 바닥돌 위로, 1층의 기단(基壇)을 쌓고, 5층의 탑신(塔身)을 ..
천안 만일사마애불(天安晩日寺磨崖佛) 천안시 문화재자료 제255호 충남 천안시 성거읍 천흥리 충청남도 천원군 성거읍 청흥리의 만일사 법당 뒤의 자연암벽에 돋을새김한 마애여래좌상이다. 미완성의 불상이며 마멸이 심해 윤곽을 알아보기 어렵다. 머리 부분은 직사각형이고 얼굴의 윤..
천흥사터 오층석탑(天興寺址五層石塔) 전체적으로 5.27m나 되어 당당하지만 지붕면이 좁아지고 왜소해지는 등 고려 때 탑 모습을 잘 보여 주는 오층석탑이다 2층 기단 위에 5층의 몸체를 갖추고 현재 상륜부는 없는데 5층 지붕돌도 1966년에 해체하여 복원할 때에 근처에서 찾아 그나마 현재의 모습을 이룰 수 있게 되었다 하층 기단 면에는 당간지주처럼 각면에 작은 안상이 7구씩 조각되어 있다 1층을 제외하고는 각각 하나씩의 돌을 얹어 놓은 각층 몸돌에도 모서리 기둥만이 조각되어 있을 뿐 특별히 다른 장식은 없어 소박한 편이다 지붕돌도 기울기가 느리게 내려오다가 추녀에서 살짝 반전을 하고 있을 뿐 과장이 심하지 않은 편으로 경쾌한 느낌을 준다 든든한 2층 기단에 평박한 낙수면,추녀가 직선형으로 깎인 점 등은 신..

천흥사지 당간지주(天興寺址幢竿支柱) 천흥사는 성거산(聖居山) 자락에 있었던 사찰로 고려 초기인 921년에 창건된 것으로 전하고 있다.현재 사찰이 있었던 자리는 과수원과 민가가 자리 잡고 있다.과수원 일대의 넓은 범위에 걸쳐 많은 기와 조각들이 흩어져 있다.그리고 당간지주는 오층석탑이 있는 곳에서 500m정도 떨어진 작은 개울을 건너있는 천흥마을 한 가운데 위치하고 있다.즉,천흥사 경내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진입 공간에 배치된 당간지주를 지나서 다시 개울을 건너도록 조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따라서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가람이 구성된 대찰(大刹)이었음을 알 수 있다 당간지주는 경사진 곳에 동서로 마주 서 있으며 당간을 제외하고 기단부와 지주부가 정연하게 잘 남아 있다.지대석은 4매의 판석형(板石形)석재를 깔아..
천안 삼태리마애불(天原三台里磨崖佛) 천안 풍세에서 살짝 들어가는 삼태리의 태화산에는 산 정상에 장대한 마애불이 있다 옛 절터에 지은 자그마한 암자인 태화사(혜선암)을 동북쪽으로 200m정도 오르면 높이 8m,너비 9m의 우뚝 솟은 바위면에 새겨져 있다 절 내력은 알려져 있지 않은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