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Tags
-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Archives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구례 지리산 연곡사(智異山 燕谷寺).전남 구례 본문
지리산 연곡사(智異山 燕谷寺)
전남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연곡사(燕(鷰)谷寺)는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1072번지 지리산(智異山)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 화엄사의 말사이다.
절은 현재 남아있는 자료로 볼 때 통일신라 말에서부터 고려초에 걸쳐 가장 번성한 것으로 추측되지만 창건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찾을 수 없다. 다만 정병덕(鄭秉德)이 1924년에 집록한 《지리산화엄사사적》의 끝부분에 <연곡사사적>을 기술하고 있어 사찰의 변화를 살피는 데 참고가 될 뿐이다.
이 사적기에 의하면 신라 진흥왕 때 연기조사(緣起祖師, 혹은 烟起祖師)가 그의 만년에 세상을 피해 살기 위한 장소로 창건했다고 한다. 또 조선 후기 연곡사의 중창주였던 소요 태능도 그의 시에서 절은 연기조사가 처음 창건했다고 읊고 있다. 연기조사는 화엄사를 창건한 인물로서, 《화엄경》에 관한 많은 책들을 저술한 것으로 보아 화엄종 스님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연곡사도 처음에는 인근 화엄사의 영향권 안에서 사찰의 기틀을 마련하였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어느 때인가 참선 도량으로서 독자적 위치를 확보한 것으로 보여진다. 이는 현각선사탑비와 동부도·북부도·삼층석탑이 모두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기에 조성되어 선종계통의 불교문화가 꽃을 피운 흔적을 담고 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대한불교진흥원자료*
*연곡사에 대한 첫 번째 포스팅이며 두 번째 포스팅도 있습니다.*
'☆~ 절집.절터 > 전 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순 영구산 운주사 1 (靈龜山 雲住寺).전남 화순 (0) | 2008.03.05 |
---|---|
해남 달마산 미황사(達磨山 美黃寺).전남 해남 (0) | 2007.06.16 |
구례 지리산 화엄사(智異山 華嚴寺).전남 구례 (0) | 2007.04.05 |
화순 사자산 쌍봉사(獅子山雙峰寺).전남 화순 (0) | 2007.03.23 |
곡성 동리산 태안사(桐裏山泰安寺).전남 곡성 (0) | 2007.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