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송시열초상(宋時烈 肖像).국립중앙박물관 본문
송시열초상(宋時烈 肖像)
국보 제239호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유학자인 우암 송시열(1607∼1689) 선생의 초상화이다.
송시열 선생은 조선의 대표적 성리학자로 힘있고 논리적인 문장과 서체에 뛰어났고
평생 주자학연구에 몰두하여 율곡 이이의 학통을 잇는 기호학파의 주류이었다.
이 초상화는 가로 56.5㎝, 세로 97㎝로 비단바탕에 채색하여 그린 반신상이다.
머리에는 검은색 건을 쓰고 유학자들이 평상시에 입는 옷인 창의를 걸치고 오른쪽을 바라보고 있다.
과장되게 표현된 거구의 몸체와 개성적인 눈썹 그리고 깊게 패인 광대뼈의 주름에서는 학식의 깊이를 느끼게 한다.
얼굴은 엷게 채색한 다음 갈색 선으로 주름을 그렸고 옷의 주름은 부드러운 곡선으로 간결하게 표현하였다.
이 그림 오른쪽에는 그가 45세 때 쓴 글이 있고, 윗쪽에는 정조가 쓴 칭찬의 글인 찬문이 남아있다.
이 두 글에 의해 그의 나이 45세 때 그려진 것이라고도 하고, 깊은 주름과 하얗게 센 수염은 노년의 모습으로
그가 살아있을 때 노년의 모습을 그린 본을 따라 정조 때 옮겨 그려진 것이라고도 한다.
옮겨 그려진 것이라 하더라도 화공의 솜씨가 뛰어나며 명암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표현한 강한 눈매와 숱 많은 눈썹, 붉은 입술 등에서
그의 과격한 성품이 보이며 옷의 흑과 백의 대조는 유학자로서의 기품을 더해주고 있다.
그가 죽은 뒤 그를 받들고 추모하는 사람들에 의해 많은 영당과 서원이 건립되었고
그곳에 봉안하기 위한 이모본들이 제작되었는데 현재 5점이 전해지며 그 중에서 이 그림이 제일로 손꼽힌다.
*문화재청자료*
'☆~ 바람소리 > 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광사원랑선사탑비(月光寺圓朗禪師塔碑).국립중앙박물관 (0) | 2008.11.12 |
---|---|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국립중앙박물관 (0) | 2008.11.12 |
여주출토"청녕4년"명동종(驪州出土“淸寧四年”銘銅鐘).국립중앙박물관 (0) | 2008.11.12 |
시공사 쇠북(時供寺 金鼓).국립중앙박물관 (0) | 2008.11.12 |
감은사지동탑사리장엄구(感恩寺址東塔舍利莊嚴具).국립중앙박물관 (0) | 2008.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