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처럼 떠나다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충북 충주 본문

☆~ 풍경소리/충 북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충북 충주

푸른새벽* 2008. 12. 23. 07:12

 

 

 

 

 

 

 

 

 

 

 

 

 

 

 

 

 

 

 청룡사 보각국사 부도(普覺國師 浮屠)


보각국사 혼수의 부도는 높이 2.63m이며 국보 제197호로 지정되어 있다
바로 앞에 배례석이 있고 앞쪽에 석등이,뒤쪽에 부도비가 있다
비문에 따르면 보각국사의 부도는 태조 3년(1394)에 건립되었다


부도는 팔각원당형이면서 중대석과 몸돌을 부풀려놓는 등 새로운 모습을 하고 있다
팔각지대석은 높직하며 윗면을 파서 하대석이 꼭 맞아 들어가도록 했다
하대석 옆면에는 문양이 없으나 윗면에는 열여섯 장의 연꽃잎이 엎어 새겨졌으며
꽃잎마다 삼산형(三山形) 꽃이 장식되어 있다
하대석 윗면에 중대석을 받는 각진 굄이 있고 그 위에 얹힌 중대석은 배가 불러서 북통 모양이다
각 면에 사각의 모서리를 안으로 구부려넣은 모양의 안상이 있고
그 안에 운룡(雲龍)과 사자상이 번갈아 조각되었다
상대석은 위아래만 바뀌었을 뿐 하대석과 꼭 같은 모양이고
지대석과 마찬가지로 윗면을 파서 부도의 몸돌을 끼울 수 있게 되어 있다


몸돌은 팔각이지만 둥그스럼하게 배가 불러 있다
각 면에 무기를 든 신장상이 조각되었으며
모서리에는 반룡이 휘감긴 배흘림기둥이 높은 부조로 새겨졌고
기둥 위에는 목조건축물처럼 창방이 표현되었다
지붕돌은 두툼하며
처마는 몸돌의 기둥 위 창방머리와 닿은 부분이 역시 목조건축물의 짜임처럼 처리되었고
열여섯 장의 연꽃잎이 새겨졌다
지붕돌 윗면은 경사가 급하고 기왓골은 표현되지 않았으나
합각마루 끝마다 봉황과 용머리가 차례로 조각되어 있다
지붕돌 꼭대기에 일곱 장의 연꽃잎이 엎어 새겨졌고
그 위에 앙화,복발,화염보주로 이루어진 상륜부가 놓였다


이 부도는 조선 초기 석조미술의 한 표본을 보인다
상륜부가 땅 속에 묻히고 쓰러져 있었는데 1968년 제자리에 복원되었다
지대석 아래 지면과 몸돌 윗면에는 사리공이 있어서 보각국사의 사리를 비롯하여
옥촛대,금망아지,금잔 등의 장엄구가 있었으나 일제강점기 말에 도둑 맞았다
*한국문화유산답사회 지음 '답사여행의 길잡이'중에서*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

국보 제197호
충북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 산32 


청계산 중턱의 청룡사에 자리한 부도로, 보각국사의 사리를 모셔놓았다. 보각국사(1320∼1392)는 고려 후기의 승려로, 12세에 어머니의 권유로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으며, 이후 불교의 경전을 두루 연구하여 높은 명성을 떨치었다. 특히 계율을 굳게 지키고 도를 지킴에 조심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도 능하였다. 조선 태조 원년(1392)에 73세의 나이로 목숨을 다하자, 왕은 '보각'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탑이름을 ‘정혜원륭’이라 내리어 탑을 세우도록 하였다.


탑은 전체가 8각으로 조성되었는데, 바닥돌 위에 아래·가운데·윗받침돌을 얹어 기단(基壇)을 마련하고 그 위로 탑몸돌과 지붕돌을 올려 탑신(塔身)을 완성하였다. 기단은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한 8각으로, 아래받침돌에는 엎어놓은 연꽃무늬를, 윗받침돌에는 솟은 연꽃무늬를 새겼다. 가운데돌에는 사자상과 구름에 휩싸인 용의 모습을 교대로 새겼다. 탑신의 몸돌은 각 면마다 무기를 들고 서 있는 신장상(神將像)을 정교하게 새겨 놓았으며, 그 사이마다 새겨진 기둥에는 위로 날아오르는 이무기의 모습을 역동적으로 표현하였다. 지붕돌은 여덟 귀퉁이에서 높이 들려있는데 마치 목조건축의 아름다운 지붕 곡선이 살아난 듯하다.


태조 3년(1394)에 완성을 보게 된 이 부도는 양식상 종모양이 주류를 이루던 시기에 8각의 평면을 이루는 형식으로 건립된 몇 안되는 부도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전기 조형미술의 표본이 되는 귀중한 유물이다. 또한 탑 가득히 새겨진 조각과 둥글게 부풀린 외형이 어우러져 화려함을 더해주고 있다. 탑신의 기둥과 지붕의 곡선, 그리고 지붕 귀퉁이의 용머리조각 등에서 목조건축의 양식을 엿볼 수 있어 당시의 건축과 비교하여 감상할 만하다.
*문화재청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