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Tags
-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Archives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부여 무량사동종(扶餘 無量寺銅鐘).충남 부여 본문
부여 무량사 동종(無量寺銅鍾)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2호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16
무량사 동종은 1636년(인조 14) 작. 높이 111㎝, 입지름 70㎝.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2호. 정상부에는 용뉴(龍鈕)와 음통(音筒)이 갖추어져 있으며, 어깨에는 2열로 범자(梵字)를 배치하였다. 그 아래 네 곳에는 유곽(乳廓)이 배치되었고, 유곽 사이에는 삼존불입상이 장식되어 있으며, 유곽 아래는 각각 패(牌)를 배치하였다.
하대(下帶)는 연꽃·보화(寶花)를 당초문(唐草文)으로 연속시켜 구성하여 매우 화려한 느낌을 준다. 명문의 일부는 양주(陽鑄)되었고 일부는 점선으로 음각하였으며, 패형곽(牌形廓) 안에는 ‘宗啚磐石三道彌隆(종비반석삼도미륭)’·‘懸日長明海周沙界(현일장명해주사계)’ 등의 글이 새겨져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자료*
'☆~ 풍경소리 > 충 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산 성삼문 묘소(論山 成三問墓所).충남 논산 (0) | 2018.11.11 |
---|---|
부여 장하리삼층석탑(扶餘 長蝦里三層石塔).충남 부여 (0) | 2017.02.11 |
부여 무량사 부도군(扶餘 無量寺 浮屠群).충남 부여 (0) | 2017.02.08 |
부여 무량사 김시습부도(無量寺金時習浮屠).충남 부여 (0) | 2017.02.07 |
김시습초상(金時習 肖像).충남 부여 무량사 (0) | 2017.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