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치악산 구룡사(雉岳山 龜龍寺).강원 원주 본문
치악산 구룡사(雉岳山 龜龍寺)
강원 원주시 소초면 학곡리 1029
구룡사(龜龍寺)는 원주시 소초면 학곡리 1029번지 치악산(雉岳山)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 월정사의 말사다.
영동고속도로 새말 인터체인지로 빠져 원주 동쪽에 남북으로 병풍을 두른 듯한 치악산 초입에 들어서면 울창한 숲과 계곡의 웅장함이 주위를 압도한다. 특히 조선시대 왕실 건축용으로 사용했던 황장목(黃腸木)이 유명하다. 그래서 나라에서 함부로 벌채를 금지하도록 하여 몇 곳에 황장금표(黃腸禁標)가 세워질 정도였는데, 상원사 근처에 있는 황장금표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것이다.
후삼국시대 양길(梁吉)과 궁예(弓裔)가 청운의 큰 뜻을 펼쳤고, 불사이군(不事二君)의 굳은 정절을 끝까지 간직한 운곡(耘谷) 고려 말 원천석(元天錫) 선생이 숨어 산 치악산은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학소설가 이인직(李仁稙)에 의해 더욱 유명해진 한국의 명산이다. 봄이면 진달래와 철쭉이 물들고 가을이면 단풍이, 겨울이면 설화(雪花)가 흩날리는 이 치악산의 북쪽 기슭에 원주 지역 최대의 사찰 구룡사(龜龍寺)가 자리 잡고 있다.
구룡사는 668년(문무왕 8)에 의상(義湘) 대사가 청건하였다. 창건 이후 신라말의 도선(道詵) 국사, 조선 초기의 무학(無學) 대사, 조선 중기의 서산(西山) 대사 등이 머물면서 많은 후학들을 배출하여 영서지방 수찰(首刹)의 지위를 지켜왔다.
그러나 현재 구룡사의 구체적인 역사는 전래되지 않는다. 다만 경내에서 1706년(숙종 32)에 해당하는 연호가 적히 와당이 출토되어서 이 해에 중건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구룡사에 있는 오래된 건물들은 숙종 때 이후에 건립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오늘날의 중수는 1966년 구룡사 주지로 부임한 종영(宗泳) 스님에 의해 이루어졌다. 1966년 보광루를 해체복원하였고, 1968년에는 심검당과 요사를, 1971년에는 삼성각을, 1975년은 대웅전을 보수 단청하였으며, 1977년 치악산 주봉인 비로봉에서 호국기원대제를 베풀어 원주 지방의 연중행사로 정착시켰다.
•창건 설화
구룡사 창건에 얽힌 설화가 다음과 같이 전해지고 있다. 본래 지금의 절터 일대는 깊은 소(沼)로서 거기에는 아홉 마리의 용이 살고 있었다.
의상 스님이 못을 메우고 절을 지으려 하자 용들은 이를 막기 위해 뇌성벽력과 함께 우박 같은 비를 내려 온 산을 물에 잠기게 만들었다. 그러나 스님은 비로봉과 천지봉을 밧줄로 연결하여 배를 매 놓고 배 위에서 낮잠을 즐겼다. 이제는 스님이 물에 잠겨 죽었을 것이라고 생각한 용들이 비를 멈추자, 잠에서 깨어난 스님은 부적 한 장을 그려 못 속에 넣었다.
얼마 안 있어 연못에서 더운 김이 무럭무럭 오르더니 물이 부글부글 끓기 시작하는 것이었다. 물속에서 뜨거움을 참다못한 용들은 뛰쳐나와 한달음에 동해로 달아났고, 그 중 한 마리는 눈이 멀어 달아나지 못하고 절 위쪽의 구룡폭포 아래 용소(龍沼)에 머물렀다.
용들이 달아나자 의상 대사는 못을 메우고 절을 창건하였다고 한다. 한편 뜨거운 물에 쫓겨 동해로 달아나던 용들은 얼마나 다급하였던지 구룡사 앞산을 여덟 개로 쪼개어 놓으며 도망했다고 하는데, 지금도 구룡사에서 동해로 향한 능선은 여덟 골짜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창건설화는 이 절 주변의 지형 및 처음 이름이 구룡사(九龍寺)였던 것과 관련하여 이루어졌을 것이다.
*대한불교진흥원자료*
'☆~ 절집.절터 > 강 원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양 선림원지(禪林園址).강원 양양 (0) | 2006.11.10 |
---|---|
원주 거돈사지(居頓寺址).강원 원주 (0) | 2006.11.04 |
원주 법천사지(法泉寺址).강원 원주 (0) | 2006.11.03 |
원주 흥법사지(興法寺址).강원 원주 (0) | 2006.10.28 |
오봉산 청평사(五峰山 淸平寺).강원 춘천 (0) | 2006.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