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501)
바람처럼 떠나다

청주 운천동 출토 동종(淸州雲泉洞出土銅鐘) 보물1167호 충북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43 국립청주박물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에서 출토된 통일신라시대의 범종. 199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78㎝, 입지름 47.4㎝.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1970년 금동불상, 금고(金鼓) 등의 불교 관련 유물과 함께 발견되었다. 신라종의 양식을 충실히 따른 아름다운 동종이지만 일부에 손상을 입었고 약식화의 흔적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정상에는 단룡(單龍)으로 된 용뉴(龍鈕)를 ‘∩’형으로 표현하여 고리의 역할을 하도록 만들었다. 그 옆에는 원통(圓筒)이 있으나 용신(龍身)과 분리되었고 원통의 상부는 절단되었다. 이 용뉴는 높이 14㎝ 정도로 몸체에 비하여 비교적 작은 편이다. 상대와 하대에는 장식 문양이 ..

청주보살사오층석탑(淸州菩薩寺五層石塔)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 보살사에 있는 조선 중기의 석탑. 높이 3m.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65호. 이 탑은 극락보전 앞에 서 있는데 1층기단 위에 5층의 탑신(塔身)과 상륜(相輪)을 받고 있다. 지대석(地臺石)은 1주석(柱石)으로 그 위에 면석(面石)이 아닌 3단으로 된 기단 굄을 조성하였는데, 3단의 기단 굄은 차례로 체감되었고, 그위에 상대갑석(上臺甲石)을 받고 있다. 상대갑석은 1석으로 조성되어 8판복엽(八瓣複葉)의 복련(覆蓮)이 각출(刻出)되었으며 그 상면에 탑신 굄이 1단 조출(彫出)되었다. 초층옥신(初層屋身)의 각 면에는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를 새겼으며, 그 가운데 사각형과 내원(內圓)을 음각하고 범자(梵字)를 음각하였다. 초층 옥개석(屋蓋石..

청주보살사극락보전(淸州菩薩寺極樂寶殿)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에 있는 사찰건축. 1980년 1월 9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980년 1월 9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보살사의 절집이다. 극락보전은 불교에서 서방의 극락세계를 관장하는아미타불(阿彌陀佛)을 봉안하는 법당이다. 전형적인 금당식(金堂式) 건물인데 자연석의 주춧돌, 기둥과 지붕의 비례, 지붕골의 단순성 등에서 조선 중기 건물의 특징이 강하게 남아있다. 전하는 바로는 보살사 극락보전은 신라 진흥왕 28년(567)에 의신조사가 창건하였다고 한다. 또 《보살사중수비(菩薩寺重修碑)》에 의하면 고려 공민왕 때 보살사에 전답이 하사되었고, 조선 세조 4년(1458)에 어명으로 중수되었으며, 임진왜란 후인 숙종 9년(1683)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