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바람소리/박물관 (211)
바람처럼 떠나다
동사리석탑(東寺里石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1호 충남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37-13 국립부여박물관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탑이 있었던 원래의 터에는 비석을 세워 그 자리를 밝혀두었다. 형태는 전체의 무게를 지탱해주는 기단(基壇)을 2층으로 마련하고, 그 위로 5층에 이르는 탑신(塔身)을 쌓..
부여 가탑리 부도(扶餘 佳塔里浮屠) 지정사항 없음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국립부여박물관 부도는 원래 부여 가탑리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국립부여박물관에 이건하여 놓은 것이다. 부도는 기단에 탑신·옥개를 갖추고 있다. 기단은 방형 화강암 판석을 지대석으로 놓고 그 위에 연꽃을 복련, 앙련으..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扶餘 普光寺址 大普光禪師碑) 보물 제107호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산16-1 국립부여박물관 고려시대 보광사를 크게 일으킨 원명국사의 공적이 새겨져 있는 비이다. 원래는 충남 부여군 성주산의 보광사터에 있던 것을 1963년 국립부여박물관으로 옮겨 보관하고 있다. 비..
부여 동남리석탑(東南里石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04호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37-11 국립부여박물관 앞마당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석목리 논절부락의 고려시대 옛 절터에 있던 것을 이곳으로 옮겨 세웠다. 전체의 무게를 지탱해주는 기단(基壇)을 2층으로 마련하고, 그 위로 5층의 탑신(塔身..
당유인원기공비(唐劉仁願紀功碑) 보물 제21호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산 16-1 국립부여박물관 당나라 장수 유인원(劉仁願)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碑)이다. 부소산에 세 조각으로 깨진 채 흩어져 있던 것을, 그 자리에 비각을 세워 복원해두었다가 해방 후 국립부여박물관으로 옮겨 놓았다. ..
춘천 신매리 고인돌(春川 新梅里支石墓) 강원 춘천시 석사동 국립춘천박물관 고인돌이란 납작한 판돌板石이나 괴석형塊石形 덩이돌 밑에 받침돌로 고여 있는 괸돌 또는 고임돌의 모습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고여 있는支/撑 돌石'이란 의미의 지석묘(支石墓)를 우리말로 나타낸 것이다. 청동기시대의..
춘천박물관 삼층석탑(春川博物館 三層石塔) 강원 춘천시 석사동 춘천박물관 이 탑은 기단부와 상륜부가 결손된 삼층석탑으로, 1층 옥신은 다른 석탑의 일부로 추정된다. 한 면에 문비로 보이는 장방형의 액이 마련되어 있다.
장명등(長明燈) 장명등은 사찰이나 무덤 앞에 세워 불을 밝히는 석등이다. 무덤에 장명등을 배치하는 것은 우리나라에서만 보여지는 독특한 풍속으로,개성에 있는 고려 말 공민왕의 무덤 현릉(玄陵)의 장명등을 시작으로 이후 왕릉에는 반드시 세워졌다. 조선시대에는 일품 이상의 재상의 무덤에만 제한하여 세울 수 있었으므로, 죽은 이의 신분을 상징하는 표시물이 되기도 했다. 초기의 무덤 구역을 밝히는 기능에서 점차 형식적인 장식물로 변했다. 연꽃 받침돌 위에 불을 밝히는 화사석(火舍石)인 몸체와 8각의 지붕돌(屋蓋石)로 이루어져 있다. 꼭대기에는 연꽃 봉우리 모양의 보주(寶珠)가 장식되어 있다. 석인상(石人像) 문인석(文人石)과 무인석(武人石)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의 영향을 받아 8세기부터 왕릉을 지키는 수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