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바람소리/박물관 (211)
바람처럼 떠나다
석조부도(石造浮屠) 시도유형문화재 제29호(성북구) 서울 성북구 성북동 97-1 간송미술관 간송미술관에 진열되어 있는 8각 사리탑으로, 바닥돌 위로 기단(基壇)을 올리고, 탑신(塔身)을 얹은 후 머리장식으로 마무리한 모습이다. 기단은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중 아래받침돌에는 도드라진 연..
석조비로자나불좌상(石造毘盧舍那佛坐像) 시도유형문화재 제31호(성북구) 서울 성북구 성북동 97-1 간송미술관 화강암으로 된 높이 1.5m의 좌상으로 간송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그 위로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큼직하게 솟아있다. 옷은 양 어깨를..
삼층석탑(三層石塔) 시도유형문화재 제28호(성북구) 서울 성북구 성북동 97-1 간송미술관 2층 기단(基壇)을 쌓아 그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의 탑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엎어놓은 연꽃무늬를 새기고, 위층 기단에는 솟은 연꽃무늬를 조각하여 장식하였다. 탑신은 각 층 몸돌의 모서리마다 기..
괴산외사리석조부도(槐山外沙里石造浮屠) 보물 제579호 서울 성북구 성북동 97-1 간송미술관 충북 괴산군 칠성면 외사리 마을의 산기슭에 있었던 탑으로, 일제시대에 일본인에 의하여 해외로 반출될 뻔 하였던 것을 간송미술관에 옮겨 세워 놓았다. 한국전쟁 때 탑이 무너져 각 부분이 흩어졌으나, 1964..
인왕상(仁王像) 경북대학교 야외박물관 인왕상은 금강역사(金剛力士)·이왕(二王)·집금강신(執金剛神)이라고도 한다. 인도의 약사신에서 유래된 것으로 처음에는 갑옷을 입은 신장형(神將形)으로 표현되었지만 차츰 반라(半裸)의 몸에 천의를 두르고 팔을 들어 왕성한 힘을 강조하는 모습으로 변했다. 보통 사찰의 좌우에 두 신을 마주보도록 배치했는데 이는 사악한 것이 성스러운 경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는 수문장 역할을 한다는 뜻에서 비롯된 것이다. 입을 벌리고 한 손에 금강저(金剛杵)와 같은 무기를 들고 있는 상은 아금강상(阿金剛像)이라고 하며, 입을 꽉 다문 채 주먹으로 권법의 자세를 취하고 있는 상은 음금강상(吽金剛像)이라고 한다. 인왕은 금강역사와 밀적역사(密跡力士)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이는 같은 개념에서 나온 것..
비로자나불좌상(毘盧舍那佛坐像) 대구 북구 산격동 1370 경북대학교박물관 이 불상은 9세기 중엽 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 무른 사암으로 만들었는데 하나의 돌로 조각한 하대석과 중대석 위에 상대석을 얹은 받침대와 그 위에 놓인 불신(佛身)으로 이루어져있다. 불신의 머리는 머리카락이 소라처럼 오른쪽으로 말려 올라가는 모습을 형상화한 나발이며,정수리에는 마치 혹과 같은 육계가 솟아 있다. 얼굴은 부드럽고 원만하며 도톰한 두 눈과 살짝 다문 입가의 미소는 환희에 가득 찬 내면세계를 보여 주는 듯하다.옷 주름은 간결하며 손은 비록 파손되었으나 왼손으로 오른손 검지를 감아쥔 지권인(智拳印)이다.받침대는 하대석과 상대석에 연꽃무늬,중대석에 불법을 지키는 팔부중(八部衆)이 새겨져 있다.전체 높이는 196cm이다. *경북대..
삼층석탑(三層石塔)② 대구 북구 산격동 1370 경북대학교박물관 고려시대의 탑으로 비교적 간단하고 소박한 형태이다.석재는 화강암인제 지대석 위에 조성한 상하 2층의 기단과 그 위에 올린 3층의 탑신으로 구성되었다. 각 탑신의 기단에는 모서리 기둥인 우주(隅柱)가 돋을새김으로 표현되어 있다.또 하층 기단에는 코끼리 눈의 형상을 본떠 만든 장식문양인 안상(眼象)이 새겨져 있는데 그 중앙에 꽃무늬를 배치하였다.전체 높이는 228cm이다. *경북대학교박물관안내문*
삼층석탑(三層石塔)① 대구 북구 산격동 1370 경북대학교박물관 통일신라시대의 탑이다.석재는 화강암이며 2층 기단과 그 위에 올린 3층의 탑신부로 구성되어 있다.옥신석은 한 개의 돌로 만들었고 모서리에는 우주(隅柱)가 돋을새김되어 있다.옥개석은 낙수면의 경사가 급하고 추녀 끝이 가볍게 반전되어 올라가는 모습이며 옥개받침은 4단이다.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소박하면서도 전체적으로 보아 경쾌한 느낌을 준다.탑의 높이는 375cm이다. *경북대학교박물관안내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