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바람소리/박물관 (211)
바람처럼 떠나다
현왕도(現王圖) 조선.1893년 국립중앙박물관 불교의 세계관에서 죽은 자는 7일 이후부터 3년까지 시왕(十王)에게 심판받는데 비해 현왕에게는 3일 만에 심판을 받는다.현왕(現王)은 본래 지옥을 다스리는 열 명의 왕 중 다섯 번째인 염라대왕이지만,현왕 신앙이 인기를 얻으면서 다른 왕들..
무신진찬도((戊申 進饌圖) 작가미상 조선.1848년 1848년에 대왕대비(순원왕후 김씨)의 육순과 왕대비(신정왕후 조씨)의 망오望五(41세)가 된 것을 경축하기 위하여 창경궁에서 거행한 진찬進饌을 그린 것이다. 오른쪽 제 1~2폭에는 진찬일 전날인 3월 16일에 인정전에서 거행된 진하례陳賀禮 ..
고령 대가야박물관 야외전시유물(高靈 大加耶 博物館 野外展示遺物) 경북 고령군 고령읍 지산리
서혈사지 석조여래좌상 (公州 西穴寺址 石造如來坐像) 보물 제979호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서혈사터에서 출토된 3구의 불상 중 하나이다. 서혈사지는 백제시대에 창건되어 작은 규모로 운영되다가 통일신라시대에 본격적인 사찰로 운영되었다. 머리에는 작..
계유명삼존천불비상(癸酉銘三尊千佛碑像) 국보 제108호 충남 공주시 웅진동 360 국립공주박물관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서광암(瑞光庵)에서 발견된 작품으로, 비석 모양의 돌에 불상과 글을 새겨 놓은 것이다. 사각형의 돌 전체에 불상을 새겼는데, 앞면의 삼..
공주의당금동보살입상 (公州儀堂金銅菩薩立像) 국보 제247호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1974년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송정리의 한 절터에서 출토된 보살상으로, 높이는 25㎝이며, 현재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머리에는 삼면보관(三面寶冠)을 쓰고 있..
무령왕 금귀걸이(武寧王 金製耳飾) 국보 제156호 충남 공주시 웅진동 360 국립공주박물관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백제시대의 금 귀고리 한 쌍으로 길이는 8.3㎝이다. 왕의 널(관)안 머리 부근에서 발견되었으며, 호화로운 장식이 달려있다. 굵은 고리를 중심으로 2가닥의 장식을 길게 ..
무령왕 발받침 (武寧王 足座) 국보 제165호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무령왕릉 목관 안에서 발견된 장의용 나무 발 받침으로 왕의 발 받침대이다. 윗부분이 넓고 아랫부분이 좁은 사다리꼴 통나무의 중앙을 W자로 깊게 파서 양 발을 올려놓게 만들었다. 전면에 ..
무령왕 금제관식(武寧王 金製冠飾) 국보 제154호 충남 공주시 웅진동 360 국립공주박물관 관리자(관리단체) 국립공주박물관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백제 때 금으로 만든 왕관(王冠) 꾸미개(장식) 한쌍이다. 높이는 각각 30.7㎝, 29.2㎝이고, 너비는 각각 14㎝, 13.6㎝이다. 1971년 무령왕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