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바람소리/박물관 (211)
바람처럼 떠나다
두루주머니 아랫부분은 둥글고 위는 모진 모양으로, 아가리에 잔주름을 잡고 두 개의 끈을 좌우로 꿰어서 여닫게 한 작은 주머니. 끈을 졸라매면 아가리가 오그라져 거의 둥근 모양이 된다.
타래버선 주로 돌옷과 함께 신는 것으로 장식이 많다. 솜을 두어 부드럽게 직선으로 손누비를 한 버선으로, 발등 위 양볼에는 수를 놓고, 버선코에는 색실로 된 삭모(朔毛)를 달며, 앞부리와 뒤꿈치 위에는 사뜨기를 하여 곱게 만든다. 버선목 위에는 사내아이는 남색 선을 두르고 남색 대..
까치두루마기 국립민속박물관 ‘오방장두루마기’라고도 한다. 까치설날은 설날의 전날, 곧 섣달그믐날을 말한다. 까치설날은 설날을 손꼽아 기다리는 어린아이들에게 그 하루 전날 좋은 소식을 전해준다는 까치의 이름을 붙여 설날의 기쁨을 누리게 하려는 어른들의 배려에서 생겨난 ..
신구법천문도(新·舊法天文圖).복제품 보물 제1318호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길 35, 국립민속박물관 신·구법천문도(新·舊法天文圖)는 조선시대 서화용 한지에 그린 8폭의 천문도 병풍을 해체한 것으로, 서울시 종로구 세종로에 위치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천문도는 ..
철제판갑(鐵製板甲).복제품 가야시대 국립민속박물관소재 철판을 서로 연결하여 만든 갑옷으로,여러 장의 철판을 가죽으로 엮어 만든 것과 못으로 고정하여 만든 것이 있다.철 갑옷의 등장은 당시 제철기술의 발달을 보여 준다. *국립민속박물관자료*
효자각(孝子閣) 지정사항없음 소재지 : 전북 부안군 보안면 월천리 현 소재지 : 국립민속박물관 나라에서 태인 허씨 허권(許權.1847~1895)에게 내린 효자 정려(孝子旌閭.효자에게 내린 표창)를 기념한 효자비(孝子碑)의 보호 건물과 출입문. 효자각은 연꽃 봉우리,용,봉황 등을 조각하고 단청..
화준(花罇) 나라의 경사스러운 잔치가 열리는 궁전의 정전(正殿)의 중앙에 어좌(御座)가 놓여지고 그 좌우를 장엄하는 것이 화준이다. 이 화준의 채화나무는 태양을 상징하는 홍도화(紅桃花)와 달을 상징하는 벽도화(碧桃花) 두 그루가 한 쌍을 이루는데 국왕의 자리에는 일월오봉도..
황남대총 북분 은잔(皇南大塚北墳 銀盞) 보물 제627호 국립중앙박물관 황남대총 북분 은잔(皇南大塚北墳 銀盞)은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지구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무덤인 황남대총에서 발견 되었다. 황남대총은 2개의 봉분이 남·북으로 표주박 모양으로 붙어 있다. 이 은제잔은 황남..
장헌세자영우원천봉도감의궤(莊獻世子永祐園遷奉都監儀軌) 1789년(正祖13)의 사도세자(思悼世子, 1735∼1762)의 원소(園所)인 영우원(永祐園)의 천봉(遷奉)에 관한 내용을 기록한 책으로 천봉도감(遷奉都監)에서 간행하였다. 사도세자는 영조(英祖)의 둘째 아들로, 생모(生母)는 영빈 이씨(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