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풍경소리/인천광역시 (28)
바람처럼 떠나다
전등사범종(傳燈寺梵鐘) 전등사에 소장된 높이 1.64m,밑지름이 1m인 중국 송나라 때 동종이다 종몸의 아래 위에 8개의 사각형 구획을 마련하고 그 안에 새긴 뚜렷한 명문이 남아 있다 명문 내용으로 이 종이 북송(北宋) 철종 소성(紹聖) 4년(1097)에 제작한 하남성 백암산(百巖山) 숭명사(崇明..

전등사 약사전(傳燈寺藥師殿) 대웅전 서쪽 옆에 있는 목조건축물로 보물 제179호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에 조선 중기의 다포집 형식을 따르고 있으나 건축년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전등본말사지』에 " 고종 13년(1876)에 대웅전과 함께 중수했다" 는 기록이 있을 뿐이다 건물의 내부나 외부 형식이 거의..

전등사 대웅전(傳燈寺 大雄殿) 현재의 대웅전은 조선 광해군 13년(1621)에 지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 조각 기법은 그보다 한참 후대의 발전된 모습을 보여준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로 한눈에도 퍽 안정감이 있고 우아하게 느껴진다 막돌 허튼층쌓기로 높은 기단을 만들고 그 위에 역..

전등사 대조루(傳燈寺對潮樓) 전등사 경내로 들어서 가장 먼저 만나는 아담한 2층 건물이 대조루이다 대웅전으로 오르는 문루 역할을 하고 있으며,2층에 '傳燈寺'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이곳에 오르면 서해바다의 조수가 한눈에 들어온다 해서 대조루(對潮樓)라 한다 목은 이색이 누상에 올라 읊은 시..
전등사범종(傳燈寺梵鐘) 보물 제393호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전등사 일제시대 말기 금속류의 강제수탈로 빼앗겼다가 광복 후 부평군기창에서 발견하여 전등사로 옮겨 현재까지 보존하고 있다. 형태와 조각수법에서 중국종의 모습을 한 높이 1.64m, 입지름 1m의 종으로 한국의 종과는 약간의 차..
초지진(草芝鎭) 효종 7년(1656)에 구축한 요새인데 1679년 성으로 축조했다 장자평돈.성암돈이 초지진에 소속되었으나 지금은 초지진만 남아 있다 이 진 역시 병인.신미양요와 일본 군함 운요호사건 등 제국주의 침입에 맞서 줄기차게 싸워온 격전지다 당시 초지진에는 병마절제사 1명,군관 11명,군사 320..
삼랑성(三郞城) 사적 제130호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산41 정족산성이라고도 하며 단군의 세 아들이 성을 쌓았다는 전설이 있어 삼랑성이라 부른다. 이 성이 만들어진 연대는 정확하지 않으나, 고려가 1259년 삼랑성 안에 궁궐을 만들었다고 하니 그 전에 이미 성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성곽이 쌓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