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풍경소리/인천광역시 (28)
바람처럼 떠나다
강화 하점면석조여래입상(江華河岾面石造如來立像) 봉천산 아래 골짜기 석조여래입상(보물 제615)이 서 있는 곳에 돌담이 둘러쳐진 석상각(石像閣)이 있다 여기에는 봉씨 종친회에서 마련한 석상각 전기가 걸려 있고 이곳에 봉씨의 시조를 모시게 된 내력이 적혀 있다 돌담 입구 왼쪽에 ..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 (江華 長井里 五層石塔) 강화 하점면 오층석탑은 강화도에서 유일한 고려 시대 석탑이다 발견 당시 도괴되었던 이 탑은 1960년에 보수.재건하였으나 상륜부는 아예 없어졌고 몸돌 위의 지붕돌도 많이 손상되었다 기단은 단층이고,지대석 위에 4매의 판석으로 중석을..

강화 부근리 고인돌(江華 富近里고인돌) 만조된 둑처럼 넘쳐흐를 것 같은 들녘을 지나 하점면 부근리에 들어서면 밭 가운데 서 있는 거대한 고인돌이 씩씩한 모습으로 찾는 이를 반긴다 부근리 고인돌은 북방식 무덤인데 우리 나라 고인돌 중에서 가장 큰 것 중 하나이며 썩 잘생긴 고인돌이다 비스듬..
강화온수리성공회성당 조선 광무 4년(1900) 대한성공회 초대 주교인 고프 주교에 의해 건립되었다.1889년 코프씨가 영국에서 한국주교로 서품을 받으면서 대한성공회의 역사는 시작된다.코프씨는 7년 뒤인 1896년 6월 강화에서 한국인 신자에게 세례를 주고 그로부터 4년 후 대한성공회로서..

외규장각터(外奎章閣址) 조선시대 때도 고려궁터에다 행궁을 짓고 임금이 난을 피해 머물렀다 외규장각도 행궁 안의 여러 건물들 사이에 당당하게 자리잡고 있었다 외규장각을 비롯한 강화행궁이 완전 폐허가 된 것은 1866년 병인양요 때이다 프랑스군은 귀중한 책들과 금은괴 등을 모두 약탈해 가고 ..

강화동종(江華銅鍾) 고려궁터 안에 있는 성문을 여닫는 시각을 알리던 종이다 숙종 11년(1685) 강화유수인 윤지완이 주조한 것을 후에 강화유수인 민진원이 정족산성에서 다시 주조한 종이라고 한다 같은 종을 두 번씩이나 주조한 까닭이 무엇인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1차 주조에서 실패했을 가능..

강화유수부이방청(江華留守府吏房廳) 고려궁터 강화유수부 동헌 앞에 있는 조선시대 관아 건물이다 한식 목조단층집으로 ㄷ자형에 80평 쯤 된다 특히 햇볕이 매우 잘 드는 집이다 팔작지붕에 민도리 홑처마집인데,온돌방이 8칸,우물마루로 된 대청이 12칸,부엌이 1칸으로 공간이 꽤 넓다 이방청이란 ..

강화유수부동헌(江華留守府東軒) 고려궁터 안에 있던 조선 시대 관아건물로 오늘날의 군청과 같다 강화부는 조선 인조4년(1626)에 강화유수부로 승격되었다 이 무렵 이방청 등과 함께 지었으나 지금의 동헌이 그때 세운 건물은 아니다 인조16년(1638) 개수를 거쳐 1977년 복원.수리하였다 1769년 영조 때는 ..

강화고려궁지(江華高麗宮址) 고려왕조가 몽고에 대항하기 위해 고종 19년(1232) 6월부터 개경으로 환도한 원종 11년(1270)까지 39년간 머물렀던 궁터이다 대몽항쟁은 그토록 지난한 싸움이었다 강화로 천도한 고려는 2년 후인 1234년 궁궐과 관아의 건축을 모두 마쳤다 『고려사절요』에"최우(崔瑀)는 이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