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풍경소리 (1855)
바람처럼 떠나다
안성 칠장사대웅전(安城七長寺大雄殿)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4호인 대웅전의 건립연대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조선 중기에 중창되고,16세기에 여러 차례 중수를 거쳐,고종 14년(1877)에 중건된 대웅전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빛바랜 단청이 고색창연하다.새것을 덧씌우는 것만이 아름다움..
안성 미륵당오층석탑(安城彌勒堂五層石塔) 안성시향토유적 제20호 경기 안성시 죽산면 미륵당길 32-2 미륵당내의 매산리 석불입상 앞에 건립되어 있는 화강암 재료의 석탑으로 현재의 위치가 원위치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일반적 형식의 석탑으로 화강석 각 부재가 정연하고 짜임새 있게..
안성 장명사지 석조대좌(安城 長命寺址石造臺座) 지정사항없음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517-1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의 長命寺址에 있는 석불좌상은 현재 불상의 대부분이 훼손되어 형체를 알아보기 힘든 상태이나 臺座부분은 비교적 잘 남아있다. 이 절터에 세워져 있던 석..
영월정조대왕태실및태실비(寧越正祖大王胎室및胎室碑)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14호 강원 영월군 영월읍 정양리 산133번지 태실은 왕이나 왕실 자손의 태를 모셔두는 작은 돌방으로, 이것은 조선 22대 왕인 정조의 태를 모셨던 곳이며, 그 앞에는 태를 모신 것을 기념하는 비가 놓여 있다. ..
영월 탄광문화촌(寧越 炭鑛文化村) 강원도 영월군 북면 밤재로 351 (북면) 석탄산업의 중심지였던 영월군 북면 마차리의 탄광마을과 폐광을 옛모습 그대로 복원한 곳으로, 각종 유물과 자료들로 잊혀져가는 탄광촌의 모습을 보고,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교육의 장으로 재탄생한 공간이..
익산 혜봉원목조석가여래삼존상(慧峰院木造釋迦如來三尊像)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90호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719-1 혜봉원의 법당인 불이정사(不二精舍)에 모셔져 있는 삼존상 가운데 석가여래좌상과 보현보살상이다. 불이정사의 삼존상은 석가여래좌상을 가운데 두고 양옆에 보현..
대구보성선원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및복장유물(大邱寶聖禪院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및腹藏遺物) 보물 제1801호 대구 달서구 송현로8안길 35 보성선원 선학원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大邱寶聖禪院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및 腹藏遺物)'은 삼존상과 함께 복장후령통, 조성발원문 등 조성 당시의 원형을 갖추고 있어 이 시기 불상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특히 조성발원문을 통해 1647년이라는 정확한 조성시기, 봉안사찰, 조성주체, 제작자 등을 알 수 있기 때문에 17세기 불상연구의 기준이 된다. 불상에서는 작자 특유의 천진무구한 얼굴에 당당하고 장대한 신체 비례와 변화가 거의 없는 강직한 선묘에서 조각승 현욱(玄旭)의 조각세계를 엿볼 수 있다. 현욱은 17세기의 대표적인 조각승 중 한사람인 청허(靑虛..
대구 운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大邱 雲興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보물 제1814호 대구광역시 달성군 헐티로 1068 ‘대구 운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大邱雲興寺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은 복장 후령통을 비롯하여 조성발원문 등 조성 당시의 원형을 갖추고 있어 불교조..
대구 유가사석조여래좌상(大邱 瑜伽寺石造如來坐像)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0호 대구 달성군 유가면 유가사길 161 (양리) 유가사에 모셔져 있는 이 불상은 불상과 대좌가 모두 같은 석질의 화강암으로 조성된 것으로, 얼굴 전면과 양 무릎을 시멘트로 보수하였으나 그 외의 부분은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