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풍경소리 (1855)
바람처럼 떠나다
대구 인흥사지석탑(大邱 仁興寺址石塔) 대구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 402-2 인흥사지 인근에 삼층석탑 2기가 있었으나,1기는 경북대학교로 옮겨갔고 1기는 허물어져 남아 있다.남아 있는 석탑은 초층 탑신과 옥개석,2층 탑신만 남아 있는 상태로,초층 탑신에는 문비가 새겨져 있다.통일신라..
대구 인흥서원(大邱 仁興書院)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 730 1866년(고종 3)에 추황(秋篁, 1198∼1259), 추적(秋適), 추유(秋濡, 1345∼1404), 추수경(秋水鏡, 1530∼1600) 등 추계추씨 4현을 제향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이다.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된 뒤 1938년에 복원하여 매년 음력 3..
순흥도호부관아지(順興都護府 官衙址) 경북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 순흥면사무소內 위치 본래 신라의 급벌산군인데, 신라의 삼국통일 후인 757년(경덕왕 16)에 급산군으로 개칭하고 인풍현을 영현으로 관할했다. 고려초인 940년(태조 23)에 흥주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1018년(현종 9)에 안동의..
영주 순흥척화비(順興斥和碑)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42호 경북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 314-3 면사무소 척화비란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승리로 이끈 흥선대원군이 서양사람들을 배척하고 그들의 침략을 국민에게 경고하기 위해 서울 및 전국의 중요 도로변에 세우도록 한 비로, 이 비도 ..
영주 읍내리석불입상(榮州邑內里石佛立像) 영주시 유형문화재 제125호 경북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 314-1 순흥면사무소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에 있는 불상으로, 머리가 없어지고 손은 손상을 입은 상태이다. 넓은 어깨와 양감있는 신체에서는 강건함과 탄력성이 느껴진다. 오른손..
명종어필‘소수서원’현판(明宗御筆‘紹修書院’懸板)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30호 경북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40 (내죽리)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인 소수서원의 현판으로, 사액서원으로 될 당시 조선시대 명종이 이름을 지어 그것을 직접 쓴 것이다. 사액서원이란 임금이 이름을 ..
영주 소수서원 강학당(榮州 紹修書院 講學堂) 보물 제1403호 경북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40 (내죽리) 영주 소수서원 강학당은 서원의 양대기능중 하나인 학문을 강론하던 장소로 장대석의 높은 기단을 쌓아 그 위에 자연석을 다듬은 초석을 놓았으며, 규모는 정면4칸, 측면3칸의 팔작지붕 ..
영주 부석사원융국사비탁본도(浮石寺圓融國師碑拓本圖)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54 부석사박물관 시원융국사비명(諡圓融國師碑銘)(篆題) ▨▨대부(▨▨大夫) 상서(尙書) 예부(禮部)시랑(侍郞) 지제고(知制誥)이며 자금어대(紫金魚袋)를 하사받은 신(臣) 고청(高聽)이 왕명(王命)을 받들어 짓고,유림랑(儒林郞) 상서(尙書) 도관낭중(都官郞中)이고 비금어대(緋銀魚袋)를 하사받은 신(臣) 임호(林顥)는 왕명(王命)에 의하여 비문을 쓰다. 태세(太歲)가 갑오(甲午)에 있는 해, 선병(璿柄)이 묘(卯)를 가리키는 달에,신(臣)이 송막(松漠)에 사신으로 갔다가 廻(결락)國, 자수(紫水)로 서(書)하여 가로되, 고 원융국사(故圓融國師)는 세계의 진량(津梁)이며 인천(人天)의 안목(眼目)이셨는데 지금 서거(逝去)하였다. 무..
영주 부석사 오불회 괘불탱(榮州 浮石寺 五佛會 掛佛幀) 보물 제1562호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9 부석사 이 괘불은 1745년에 조성된 오불회도(五佛會圖) 형식의 괘불로서, 부석사에 전래되어 오던 1684년작 괘불을 청풍 신륵사로 이안하고 새롭게 조성한 것이다. 1684년작 괘불의 도상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