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풍경소리 (1855)
바람처럼 떠나다
현풍포교당석탑(玄風 布敎堂石塔)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현풍동로27길 54-6 현풍초교에 위치한 탑재의 일부를 가져다 복원한 쌍탑으로 현재 동화사 현풍포교당 마당에 위치하며 석탑복원의 성공적인 예로 꼽힌다.
현풍향교대성전(玄風鄕校大成殿) 문화재자료 제27호(달성군) 대구 달성군 현풍면 상리 326-1 현풍향교를 처음 지은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옛 교동에 다시 지었고 영조(재위 1724∼1776) 때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 지었다. 대성전은 영조 26년(1750)경에 지은 것으로..
현풍향교(玄風鄕校) 대구 달성군 현풍면 상리 326-1 조선시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임진왜란 후 현감 이영도(李詠道)가 구(舊)교동에 중건하였다가 1759년(영조 35) 현감 김광태(金光泰)가 현재의 위치로 이..
달성 도동서원 중정당ㆍ사당ㆍ담장(達城 道東書院 中正堂ㆍ祠堂ㆍ담장) 보물 제350호 대구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35번지 도동리 35번지 도동서원은 문경공 김굉필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조선 선조 원년(1568) 처음 세워 쌍계서원이라 불렀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없어..
대구 달성 도동서원(達城 道東書院) 한훤당 김굉필(寒暄堂 金宏弼,1454~1504).조선조 유학사를 더듬다보면 반드시 만나게 되는 인물이다.그는 고려 말의 정몽주에게서 비롯되어 길재.김숙자.김종직에게 차례로 전해진 유학의 도통을 이어받은 조선조 사림파의 적자(嫡子)라고 일컬어진다...
대구 용연사삼층석탑(龍淵寺三層石塔)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8호 대구 달성군 옥포면 반송리 915번지 용연사 극락전 앞에 서 있는 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바닥돌은 후대에 새로운 돌로 보수한 상태이며, 기단과 탑신의 몸돌 모서리마다 기둥 ..
대구 용연사 극락전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大邱 龍淵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보물 제1813호 대구 달성군 옥포면 반송리 915번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용연사의 극락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 협시하고 있는..
대구 용연사극락전(龍淵寺極樂殿)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1호 대구 달성군 옥포면 반송리 915번지 비슬산 용연사는 통일신라 신덕왕 원년(912)에 보양국사가 처음 지었다고 전한다. 조선 세종 1년(1419)에 천일대사가 다시 지었고, 임진왜란으로 불탄 것을 여러 해에 걸쳐 다시 지었다. 이..
대구 달성 용연사 금강계단(達城 龍淵寺 金剛戒壇) 보물 제539호 대구 달성군 옥포면 반송리 915번지 계단(戒壇)은 계(승려가 지켜야 할 계율)를 수여하는 식장으로, 이 곳에서 승려의 득도식을 비롯한 여러 의식이 행하여 진다. 용연사 내의 한적한 곳에 자리잡은 이 계단은 석가모니의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