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7)
바람처럼 떠나다
무위사선각대사편광탑비(無爲寺先覺大師遍光塔碑) 선각대사(법명은 형미逈微)의 부도비이며 보물 제 507호로 지정되어 있다 비신과 비신을 받친 거북,비신머리가 모두 온전하다 거북의 머리는 용의 모습인데 정수리에 뿔이 있고 귀 뒤에는 작은 깃이 달렸다 코가 벌름하고 윗입술은 조..
무위사삼층석탑(無爲寺三層石塔) 강진군 문화재자료 제76호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이 석탑은 현재 극락전 오른쪽 선각대사 편광탑비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다. 전형적인 2층 기단의 3층석탑으로 각 부재가 잘 조화되고 균제된 양식이다. 지대석은 수매의 장대석으로 결구하고 그 위..
무위사극락전백의관음도(無爲寺極樂殿白衣觀音圖) 보물 제1314호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극락보전 후불벽화인 아미타후불벽화(보물 제1313호)의 뒷면 그림으로, 떠가는 듯 일렁이는 파도 위에 연잎을 타고 서 있는 백의관음보살이 그려진 벽화이다. 하얀옷을 입고 있는 백의관음보살..
무위사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無爲寺木造阿彌陀三尊佛坐像) 보물 제1312호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극락보전 불단 위에 모셔져 있는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이다. 가운데 아미타불상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관음보살상이 배치되고 오른쪽에는 지장보살상이 자리하고 있다. 연꽃대좌 위..
무위사극락보전(無爲寺極樂寶殿) 검박하고 단정한 건물이다 이 집에서 풍겨나는 소박한 아름다움은 절안을 은은하게 채우고 있다 고려 시대 건물인 수덕사 대웅전이나 부석사 조사당을 많이 닮은 맞배지붕 겹처마에 주심포 집인데 1983년 해체 복원할 때 발견된 명문에 따르면 세종 12년(..
월출산 무위사(月出山 無爲寺)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1174 월출산 무위사는 신라 진평왕 39년(617)에 원효대사가 창건하여 절 이름을 관음사라고 했고 그후 헌강왕 원년(875)에 도선국사가 중창하고 갈옥사(葛屋寺)로 바꿨으며'고려 정종 우너년(946)에 선각(先覺)대사가 3창하고 모옥사(..

무위사선각대사부도비(無爲寺先覺大師遍光塔碑) 선각대사(법명은 형미逈微)의 부도비이며 보물 제 507호로 지정되어 있다 비신과 비신을 받친 거북,비신머리가 모두 온전하다 거북의 머리는 용의 모습인데 정수리에 뿔이 있고 귀 뒤에는 작은 깃이 달렸다 코가 벌름하고 윗입술은 조금 말려 올라갔는데 여의주를 문 입에 가지런한 아래 윗니와 혀가 보이는 것이 독특하다 두 눈은 치켜 올라갔고 눈썹이 솔처럼 빳빳하게 솟았으며 턱 밑에 갠질갠질한 수염이 달렸다 깊숙이 내려온 등껍질에는 육각 무늬가 얕게 새겨졌고 목 아랫부분에 배딱지가 표현되어 있다 거북 등 가운데 마련된 비신받침 앞뒤에는 구름무늬가,양옆에는 안상이 새겨졌다 비신에는 '고려국 고무위갑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명'이라는 제목 아래 최언휘가 짓고 유훈률이 쓴 비문이 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