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전남 담양 (9)
바람처럼 떠나다

담양 명옥헌원림(潭陽 鳴玉軒園林) 명승 제58호 전남 담양군 고서면 산덕리 511번지 등 조선 중기 명곡(明谷) 오희도가 자연을 벗 삼아 살던 곳으로 그의 아들 오이정이 선친의 뒤를 이어 이곳에 은둔하면서 자연경관이 좋은 도장곡에 정자를 짓고, 앞뒤로 네모난 연못을 파서 주변에 적송, 배롱나무 등을 심어 가꾼 정원이다. 시냇물이 흘러 한 연못을 채우고 다시 그 물이 아래의 연못으로 흘러가는데 물 흐르는 소리가 옥이 부딪히는 것만 같다고 하여 연못 앞에 세워진 정자 이름을 명옥헌(鳴玉軒)이라고 한다. 주위의 산수 경관이 연못에 비치는 모습을 명옥헌에서 내려다보며 경관을 즐길 수 있도록 조성하여 자연에 순응한 조상들의 지혜를 잘 반영한 전통원림으로 자연경관이 뛰어난 경승지이다. *문화재청자료* 담양 명옥헌원..
담양창평초등학교석탑재(潭陽昌平初等學校石塔材) 지정사항 없음 전남 담양군 창평면 창평리 창평 초등학교 교정 정면에 마련된 ‘탑골샘’에 위치한다. 석탑재는 도괴의 영향인지 옥개석 마루 끝이 많이 파손되었는데 그 중 2층 옥개석의 파손 정도가 심하다. 기단부재와 상륜부재는 없고 5층 옥개..
담양 창평리문인석형미륵(潭陽昌平里文人石型彌勒) 지정사항 없음 전남 담양군 창평면 창평리 창평 농협 뒷쪽 방향인 청화 약방 맞은편 골목을 쭉 가다 보면 골목 길가에 있는 이 석상은 동네에서 “미륵불”이라 부른다. 미륵불 의 사각모 일부는 파손되었고 아래 홈을 만들어 머리에 끼워 얹을 수 ..
담양성도리석불입상(潭陽成道里石佛立像) 지정사항 없음 전남 담양군 무정면 성도리 도동마을 마을의 저수지 위쪽의 계곡 평지에 위치한다. 불상은 낮은 육계에 소발이며 눈, 코, 정수리 등은 파손 되었다. 수인은 시무외인과 여원인을 취하는 것으로 보이나 보통의 경우와는 반대로 오른손을 내리고..
담양오룡리석불입상(潭陽五龍里石佛立像) 담양군 유형문화재 제192호 전남 담양군 무정면 오룡리 산38 이 석불은 오룡리 외당마을에서 동쪽으로 1㎞가량 떨어져 있는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다. 석불 주변에서 옛 기와편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이곳이 절터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리지(地理志)나 읍..
언곡사지삼층석탑(彦谷寺址三層石塔) 담양군 문화재자료 제20호 전남 담양군 무정면 봉안리 68 비봉산의 언곡사터로 전하는 곳에 있었던 탑으로, 1927년 무정초등학교로 옮겨 세웠다가 1996년 다시 원래의 자리를 찾아 복원해 놓았다. 탑은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로 기단에는 ..
연동사지지장보살입상(煙洞寺址地藏菩薩立像) 문화재자료 제188호 (담양군) 전남 담양군 금성면 금성리 산91-3 전라남도 담양군 금성면에 위치한 이 석불은 금성산성 남쪽 높이 약 20m쯤 되는 암벽 바로 밑에 석탑과 같이 보존되어 있다. 이 석불은 사각형의 돌기둥 앞뒷면을 약간 다듬어 머리 부분을 조..
담양연동사지삼층석탑(潭陽煙洞寺址三層石塔) 담양군 문화재자료 제200호 전남 담양군 금성면 금성리 연동사지3층석탑은 추월산(秋月山)에 있는 금성산성(金城山城) 남쪽 기슭에 자리잡은 연동사(煙洞寺)라 전해지는 절터에 석불 1구와 함께 보존되고 있다. 연동사는『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