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서산 보원사지석조(普願寺址石槽).충남 서산 본문
보원사터석조(普願寺址石槽)
절터 오른쪽 수풀 사이로 나지막한 철책에 싸여 있다.
큰 돌을 긴 네모꼴로 다듬고,그 안을 또 긴 네모꼴로 파내,길이가 3.5m나 되고 높이는 90cm에 이르지만 하나의 돌로 된 보기 드문 예로서 보물 제 102호로 지정되었다.그 깊이를 정으로 한손 한손 따냈을 공력을 생각하면 정신이 아득해진다.버려진 오랜 세월에 한두 군데 금이 가 있어 안타깝다.
안팎에 아무런 장식이 없어 오히려 장중한 맛을 지니고 있는데,밑바닥 한쪽에 물이 빠지는 구멍만이 나 있을 뿐이다.전체적으로 통일신라 시대 석조의 모습을 충실히 따르고 있는데,978년에 건립된 것으로 보는 법인국사 부도,부도비와 함께 절을 크게 중수한 같은 시기에 만든 것으로 본다.
*한국문화유산답사회 지음 '답사여행의 길잡이'중에서*
서산 보원사지 석조(瑞山 普願寺址 石槽)
보물 제102호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50
서산 보원사터에 위치한 석조이다. 보원사는 고란사라고도 하며 사찰에 대한 역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1959년 국보 제84호인
서산마애삼존불상이 발견되면서 큰 관심을 끌었던 곳이다.
석조는 승려들이 물을 담아 쓰던 돌그릇으로, 원형·팔각형·장방형 등이 있다. 이 석조는 화강석의 통돌을 파서 만든 직사각형 모양
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일반적 형식을 보인다. 규모가 거대하며 표면에 아무 장식이 없어 장중해 보인다. 내부 각 면에도 조각한 흔적이
없으며, 밑바닥면은 평평하고 한쪽에 약 8㎝정도의 원형 배수구가 있을 뿐이다. 안쪽과 윗쪽만 정교하게 다듬고 바깥쪽에는 거친 다듬
자국이 그냥 남아 있어 땅에 묻어두고 사용했는지도 알수 없다.
조각수법이 간결하고 소박하면서도 약 4톤의 물을 저장할 수 있을 정도로 규모가 커 웅장한 느낌을 주는데 이를 통해 당시 사찰의 규
모를 짐작해볼 수 있다.
*문화재청자료*
'☆~ 풍경소리 > 충 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령 성주사터오층석탑(聖住寺址五層石塔).충남 보령 (0) | 2007.11.16 |
---|---|
서산마애삼존불(瑞山磨崖三尊佛).충남 서산 (0) | 2007.04.29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碑).충남 서산 (0) | 2007.04.19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충남 서산 (0) | 2007.04.17 |
서산 보원사터오층석탑(普願寺址五層石塔).충남 서산 (0) | 2007.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