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설봉산 영월암(雪峯山 映月庵).경이 이천 본문
설봉산 영월암(雪峯山 映月庵)
경기도 이천시 관고동 438번지
영월암은 이천의 명산인 설봉산(雪峯山)에 자리잡은 절이다.설봉산은 북악(北嶽).무학(無鶴).부학(浮鶴).부아악(負兒嶽)으로도 불린다.설봉과 부아악은 불경(佛經)에서 따온 이름일 것이 분명하고,무학과 부학은 학이 나래를 편 듯한 산세에서 유래했을 터이다.절 이름도 당시는 북악사(北嶽寺)라 했었다
영월암은 창건 이후 천년 이상의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설봉산 정상에 고구려군이 쌓았다는 설봉산성터가 있는데,영월암의 부침도 산성과 함께하지 않았는지 모르겠다.혹여 산성의 관리소를 겸한 암자는 아니었을까.실례로 보아 산성에는 대게 승군이 주둔하고 있었고,반드시 승군이 머무는 사찰이 있었으니.
아무려나 영월암은 시공을 훌쩍 넘어 조선 영조 50년(1774) 영월 낭규대사(映月 朗奎大師)가 중창하고 영월암(映月庵)이라 고쳐 불렀다는 기록부터 새로운 역사가 시작된다.1911년 보은(普恩)스님이 중건했고,1941년 명칠(明七)스님이 대웅전을 중창했다.이때 석가모니불을 본존으로,관세음보살.지장보살을 좌우 보처(補處)로 모셨다
현존하는 당우는 대웅전과 동별당(東別堂).요사채 3동이다.대웅전 뒤쪽에는 연대를 알 수 없는 삼층석탑이 있고,신라 때 것으로 추정되는 뛰어난 조각솜씨의 석조광배와 연화대좌(향토유적 제3호)가 있다.대웅전 뒤편 바위에 조성된 보물 제822호인 영월암 마애여래입상이 눈길을 끈다.마애불과 옥외 유적이 많은 반면 번듯한 사찰이 없는 이천에서 영월암의 위치는 각별하다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본사 용주사의 말사이다
*한국문화유산답사회 지음 '답사여행의 길잡이'중에서*
'☆~ 절집.절터 > 경 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락산 흥국사(水落山 興國寺).경기 남양주 (0) | 2008.09.05 |
---|---|
하남 동사터(棟寺址.춘궁리사지).경기 하남 (0) | 2008.03.12 |
서운산 청룡사(瑞雲山 靑龍寺).경기 안성 (0) | 2008.01.16 |
서운산 석남사(瑞雲山 石南寺).경기 안성 (0) | 2008.01.08 |
용문산 용문사(龍門山 龍門寺).경기 양평 (0) | 2007.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