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바람처럼 떠나다
제천 월악산 신륵사(月嶽山 神勒寺).충북 제천 본문
제천 월악산 신륵사(月嶽山 神勒寺)
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 월악리 803번지
신륵사는 월악산(해발 1094m) 동쪽 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 월악리 803-5번지이다. 제천(堤川) 신륵사(神勒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05교구 본사 법주사의 말사이다.
신륵사는 월악산 깊은 계곡에 위치하고 있다. 창건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려진 바 없다. 1960년에 법당인 극락전을 중수하면서 쓴 『월악산신륵사중수기』에 의하면 신라 진평왕 4년(582년)에 아도화상이 창건하였다고 하나 확실하지 않다. 이후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년) 때 원효대사가 고쳐 지었고, 고려 공민왕 때 무학대사가 다시 고쳐 지었다고 한다.
또 조선 광해군(재위 1608~1623년) 때 사명대사가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이 기록과 함께 절에 남아있는 삼층석탑과 석재 및 극락전으로 미루어볼 때 신륵사는 신라 말 고려 초에는 창건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후 고려시대에서 조선 전기에 걸친 연혁은 전혀 알 수 없다.
임진왜란 후 조선시대 후기에 중건되었는데, 창건 후 몇 차례의 중수가 있었을 것으로 보이나 중건되기 전까지 상당히 오래 동안 폐사로 남아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중건되었다고 하더라도 절터나 현존하는 건물로 보아 사세(寺勢)는 미약했던 것으로 보인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지금으로부터 약 60년 전부터 선원(禪院)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1960년에 한국전쟁으로 퇴락한 극락전을 중수한 바 있고, 1981년에 삼층석탑을 해체하여 보수한 바 있다. 이후 근래에 들어와 2001년에 산신각을 창건한 것을 비롯해 약사당과 요사를 신축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현재 신륵사에는 지정문화재로 극락전(시도유형문화재 제132호)과 삼층석탑(보물 제1296호)이 있다.
*한국관광공사 홈페이지*

'☆~ 절집.절터 > 충 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주 보살사(洛迦山菩薩寺).충북 청주 (0) | 2009.02.06 |
---|---|
충주 청룡사지(靑龍寺址).충북 충주 (0) | 2008.12.15 |
충주 단호사(丹湖寺).충북 충주 (0) | 2007.08.05 |
제천 월악산 덕주사(月岳山 德周寺).충북 제천 (0) | 2007.03.09 |
보은 속리산 법주사(俗離山 法住寺).충북 보은 (0) | 2007.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