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바람소리/박물관 (211)
바람처럼 떠나다
금동 당간 용두(金銅幢竿龍頭) 보물 제1410호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 국립대구박물관 이 용형 당간두는 일반적인 용이 아니라 닭 모양의 용, 즉 계룡(鷄龍) 모양을 하고 있다. 머리에는 뿔 대신 강한 탄력을 보여주는 벼슬이 장식되고, 두 눈은 튀어나올 듯 크게 부릅뜨고 있다. 입술..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漆谷 松林寺 五層塼塔 舍利莊嚴具) 보물 제325호 대구 수성구 청호로 321, 국립대구박물관 송림사는 진흥왕 5년(544) 명관(明觀)이 중국에서 가져온 사리를 모시기 위해 세운 절로, 여기에는 우리 나라에 몇 개밖에 남아 있지 않은 벽돌로 만든 송림사 오층..
국립대구박물관 목조아미타불좌상(木造阿彌陀佛坐像)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 국립대구박물관 1482년에 정수사(正水寺)에서 관음보살.지장보살과 함께 삼존상(三尊像)으로 제작된 아미타불이다.영조 5년(1729)에 팔공산의 대장사(大長寺) 운수암(雲水庵)에서 수리하여 천주사로 옮겼..
대구박물관 석조비로자나불입상(石造毘盧遮那佛立像)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 국립대구박물관 대일여래라고 한역되기도 하는 비로자나불은, 그 기원이 고대 이란의 광명신 아후라 마즈다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초기 불교의 전륜성왕(轉輪聖王)이나 아수라왕(阿修..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龜尾 善山邑 金銅菩薩立像) 국보 제184호 대구 수성구 청호로 321, 국립대구박물관 경상북도 선산군 고아면에서 공사를 하던 중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국보 제182호),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국보 제183호)과 함께 출토되었다. 이 지역에서 삼국시대의 기와..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漆谷 淨兜寺址 五層石塔) 보물 제357호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 원래 경상북도 칠곡군 정도사터에 있었던 5층 석탑으로, 1924년에 경복궁으로 이전하였다가 1994년에 국립대구박물관으로 다시 옮겨 세워 놓았다. 기단(基壇)은 2단으로, 아래층 기단에는 각 면에..
화각함(華刻函) 화각공예는 회화적인 성격을 갖추고 있는 각질공예로서 나전칠기(螺鈿漆器)와 더불어 쌍벽을 이루는 고유의 전통왕실공예일뿐 아니라, 동양공예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특이한 공예이다. 이 공예의 특징은 투명도가 높은 쇠뿔을 종잇장처럼 얇게 펴 각지(角紙)를 만든 다..
살미(山彌) 살미는 적어도 삼국시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였다. 삼국시대에서 남북국시대까지 살미는 첨차와 함께 그 끝을 직절(直切)하고 직절한 아래 부분을 곡선으로 깎아 만든 ‘교두(翹頭)형’이 일반적이었으나 우리나라 삼국시대 ..
순종황제어차(純宗皇帝御車) 등록문화재 제318호 서울 종로구 세종로 1-57 국립고궁박물관 순종이 탔던 어차로 미국의 자동차 회사 제너럴모터스 (GM)가 제작한 캐딜락 리무진이다. 7인승, 31.25마력, 배기량 5,153cc로 연식은 1918년으로 추정된다. 차체에는 황실문장인 황금 오얏꽃 장식을 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