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바람소리/박물관 (211)
바람처럼 떠나다
영친왕비적의(英親王妃翟衣)-복제품 적의(翟衣)는 조선시대 여성 최고 신분의 복식으로 조선 말까지 왕비와 왕세자비의 궁중 대례복으로 사용되었다.원래는 붉은색 비단으로 지었으나 1897년(광무 원년)에 왕과 왕비가 각각 황제와 황후로 승격되면서 짙은 청색으로 바뀌었다. 영친왕비..
강화부궁전도(江華府宮殿圖) 강화부궁전도(江華府宮殿圖)는 1881년 경기 강화부(江華府)의 궁전(宮殿) · 묘전(廟殿) 등을 모사(模寫)한 것으로 모두 4폭의 절본식(折本式)으로 되어 있는 채색도첩(採色圖帖)이다.강화부궁전도를 글로 설명한 강화부궁전록(江華府宮殿錄) 1책이 있다. 강화..
창덕궁 낙선재상량문 현판(昌德宮樂善齋上樑文懸板) 낙선재는 헌종이 한창 왕권강화를 시도하던 시기인 1847년(헌종 13)에 건립되었다. 이 건물은 조선시대에는 창경궁 영역에 속해 있었는데, 지금은 창덕궁에서 관리를 맡고 있어 창덕궁으로 입장해야 볼 수 있다. 단청을 칠하지 않아 사..
경운궁편액(慶運宮扁額) 대한제국의 법궁이었던 덕수궁(경운궁)의 편액으로,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였던 즉조당(卽祚堂)에 걸었던 것이다.편액의 글자는 고종의 어필(御筆)이며,위계가 높은 전각에 걸리는 사변형 현판으로 제작되었다. *국립고궁박물관자료*
사산금표도(四山禁標圖) 1765년에 서울 도성 부근에 장지(葬地)를 만들지 못하게 하고, 또 송림(松林)의 벌채를 금지하는 표석(標石)을 세운 경계를 나타낸 지도. 서울대학교 규장각(奎章閣) 소장. (2017년 2월,사산금표도를 본 곳은 국립고궁박물관이었다. 국립고궁박물관의 안내에는 고려..
창덕궁 영건도감의궤(昌德宮營建都監儀軌) 조선, 1834년, 1책, 종이에 먹(필사본), 45.2×32.5㎝, 보물 제1901-2호 1833년(순조 33) 10월에 화재로 소실된 창덕궁의 일부 내전을 중건한 내용을 기록한 의궤다. 1833년(순조 33) 10월17일 창덕궁 화재는 희정당·대조전을 다 태우고 징광루·옥화당·양..
경회루전도(慶會樓全圖) 조선, 1866년, 종이에 먹과 채색, 20.6×21.5㎝, 정학순이 경회루 중건 당시 공간 구성을 주역의 원리로 풀어 설명한 책이다. 경회루삼십육궁지도가 첨부돼 있다. 경회루의 가장 중심공간은 우주의 세 가지 근원인 삼재, 그 주변은 팔괘(자연계와 인간계의 본질을 설..
△ 한성도(漢城圖) △ 경회루전도(慶會樓全圖) △ 창덕궁영건도감의궤(昌德宮營建都監儀軌) △ 영선사편액(營繕司扁額) △사산금표도(四山禁標圖) △ 살미(山彌) △부연착고판(浮椽着固板) △청토수(靑吐首) △ 청 암막새 △ 경운궁현판(慶運宮懸板) △ 창덕궁 낙선재상량문 현판(昌德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