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고려시대 석불 (13)
바람처럼 떠나다

여주 포초골미륵좌불(彌勒坐佛) 경기도 시도유형문화재(1973년 07월 10일 지정) 경기도 여주시 금사면 외평리 454-1번지 경기도 여주시 금사면 외평리 대성사에 있는 고려 전기의 불상. 전체 높이(대좌 포함) 2.4m. 불상 높이 1.7m. 1973년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포초골에 전해지는 석불좌상을 1941년 지금의 대성사에 봉안하여 오고 있다. 이 불좌상은 부근에서 발견된 비석 파편에 ‘嘉慶二十四年 化主幼學田錫元…’이라고 새겨져 있어 지금까지는 순조19년(1819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그러나 불상의 양식적 특징으로 미루어 보면 그보다 훨씬 이른 고려 전기의 것으로 생각된다. 머리 위에는 사각형의 천개(天蓋)를 쓰고 연화대좌 위에 앉아 있다. 양감(量感) 있는 둥근 얼굴에는..
홍성 용산리석불입상(洪城 龍山里 石佛立像) 홍성군 홍북면 용산리 용두마을 홍북면 용산리 용두마을에 자리하고 있는 미륵불을 말한다. 미륵불은 용두마을의 북쪽 동편 경사면에 자리하고 있다. 용산리 미륵불은 현재 상체와 하체에 금이 간 상태로 남아 있는데 전체 높이 185㎝ 어깨 폭..
홍성 상하리미륵불(洪城 上下里彌勒佛) 용봉사에서 산자락을 타고 2Km남짓 떨어진 곳에 '상하리 미륵불'이라고도 부르는 석불입상이 있다.용봉사에서 능선을 타고 오는 길은 용봉산의 아기자기한 바위들이 멀리 가까이에서 벗해 주기 때문에 산책 삼아 걸어 볼 만하다.아래에서 갈 때에..
고령개포동석조관음보살좌상(高靈開浦洞石造觀音菩薩坐像) 불교에서 말하는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은 한마디로 자비의 화현(化現)이다.때문에 불교미술에서 이분을 형상화할 때는 표정과 자세가 그런 덕성을 담으려고 애쓰게 된다.그런데 우리가 지금 찾아가는 개포동 석조관세음보..
여주 포초골미륵좌불(彌勒坐佛) 여주군 유형문화재 제35호 경기 여주군 금사면 외평리 경기도 여주에 있는 이 불상은 연꽃무늬 대좌(臺座) 위에 앉아있는 높이 1.7m의 석조미륵좌상이다. 민머리에 사각형의 갓을 쓰고 있으며, 네모진 얼굴에는 반쯤 감은 눈, 오똑한 코, 풍만한 양 볼과 짧..
이천어석리석불입상(利川於石里石佛立像) 일죽에서 장호원으로 이어지는 들판을 가로질러 어석리에 닿으면 백족산 아랫마을 어석2리에 일명 미륵댕이라 부르는 미륵당이 있다 마을 가운데서 낮은 야산을 등 뒤로,불상 주변엔 담장을 둘러 보호하고 있다 네 귀에 높직한 선돌이 놓여 있..
일산동석불좌상(原州 一山洞石佛坐像) 원주시유형문화재 제4호 강원 원주시 봉산동 원주시립박물관 원래 원주시 중앙동의 폐사지에 있던 것을 일제강점기에 남산 추월대로 이전하였고 다시 1962년 5월에 강원감영터로 이전하였다가 2000년 봉산동 시립박물관 야외로 이전 전시하고 있다. ..
강릉굴산사지석불좌상(江陵掘山寺地石佛坐像) 문화재자료 제38호(강릉시) 강원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603-1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굴산사 절터에 있는 석불좌상이다. 이 곳에 전해지는 3구의 석불 가운데 완전한 2구는 작은 암자에서 모시고 있고, 머리 부분이 없어진 1구는 우물에 ..
이평리 석불입상(泥坪里石佛立像) 문화재자료 제70호(이천시) 경기 이천시 마장면 이평리 267-22 영동고속도로 덕평 인터체인지에서 유네스코 청소년수련원으로가는 진입로를 따라 가다보면 왼쪽으로 야트막한야산 중에 있으며, 행정구역상으로는 마장면 이평리가 된다. 이 석불 상은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