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국립중앙박물관 (30)
바람처럼 떠나다
무신진찬도((戊申 進饌圖) 작가미상 조선.1848년 1848년에 대왕대비(순원왕후 김씨)의 육순과 왕대비(신정왕후 조씨)의 망오望五(41세)가 된 것을 경축하기 위하여 창경궁에서 거행한 진찬進饌을 그린 것이다. 오른쪽 제 1~2폭에는 진찬일 전날인 3월 16일에 인정전에서 거행된 진하례陳賀禮 ..
경천사지십층석탑(敬天寺址 十層石塔) 무신진찬도(戊辰進饌圖) 현왕도(現王圖) 산신도(山神圖) 독성도(獨聖圖) 목조동자입상(木彫童子立像) 청허대사 진영(淸虛大師 眞影) 손잡이달린 유리공 백제기와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慶州 壺杅塚 出土 靑銅 ‘廣開土..
연가7년명금동여래입상(延嘉7年銘金銅如來立像) 국보 제119호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고구려와 관련된 글이 새겨져 있는 불상으로, 옛 신라 지역인 경상남도 의령지방에서 발견되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광배(光背) 뒷면에 남아있는 글에 따르면 평양 동사(東寺)의 승려들이 천불(千佛)..
강민첨초상(姜民瞻 肖像) 보물 제588호 고려시대 장군인 강민첨을 그린 초상화로, 크기는 가로 61.3㎝, 세로 80㎝이다. 강민첨(?∼1021)은 고려시대 명장으로 목종(재위 997∼1009) 때 문과에 급제하였고, 현종 3년(1012) 동여진이 침입하자 안찰사로서 군대를 이끌고 나가 격퇴하였고 현종 9년(1018) 거란이 침입..

수종사 팔각오층석탑출토 불상(水鐘寺五層石塔出土 佛像) 경기 남양주 수종사 오층석탑을 1957년 해체했는데 여기서 수많은 금동불이 발견되었다 오층석탑 1층 탑신에서 발견된 금동불감 안에는 석가모니불과 반가사유상,두건을 쓴 지장보살로 구성된 삼존불이 봉안되어 있었다 발원문에 의하면 이 ..

군수리석조여래좌상(軍守里石造如來坐像) 보물 제329호 1936년에 충청남도 부여 군수리의 백제 절터를 조사할 때 발견된 불상으로, 곱돌로 만들었으며 4각형의 높은 대좌 위에 앉아 있는 백제 특유의 불상이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작은 머리(육계)가 솟아 있다. 네모난 얼굴은 두 볼에 웃음이 가..

월광사원랑선사탑비(月光寺圓朗禪師塔碑) 보물 제360호 충청북도 제천군 한수면 동창리 월광사터에 전해오던 탑비로, 1922년 경복궁으로 옮겨 왔으며,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 경내에 있다.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인 원랑선사(?∼866)의 행적을 기록한 탑비이다. 원랑선사는 문성왕 18년(856) 당나라에 유..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 국보 제3호 신라 진흥왕(재위 540∼576)이 세운 순수척경비(巡狩拓境碑) 가운데 하나로, 한강유역을 영토로 편입한 뒤 왕이 이 지역을 방문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원래는 북한산 비봉에 자리하고 있었으나 비(碑)를 보존하..

송시열초상(宋時烈 肖像) 국보 제239호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유학자인 우암 송시열(1607∼1689) 선생의 초상화이다. 송시열 선생은 조선의 대표적 성리학자로 힘있고 논리적인 문장과 서체에 뛰어났고 평생 주자학연구에 몰두하여 율곡 이이의 학통을 잇는 기호학파의 주류이었다. 이 초상화는 가로 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