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국립중앙박물관 (30)
바람처럼 떠나다

시공사 쇠북(時供寺 金鼓) 통일신라 865년. 쇠북은 절에서 대중을 집합시킬 때 쳐서 소리를 내는 도구로, 금고(金鼓)라고도 하며 얇은 북 혹은 징과 같은 형태이다. 이 쇠북은 신라시대에 제작되어 현존하는 것으로는 유일한 작품으로, 한쪽은 두드리는 편평한 부분이고, 또 다른 쪽은 터져서 속이 비어 ..

감은사지동탑사리장엄구(感恩寺址東塔舍利莊嚴具) 보물 제1359호 경상북도 월성군 감은사 터에 있는 감은사지삼층석탑(국보 제112호) 가운데 1996년 동쪽에 있는 석탑을 해체·수리하면서 발견된 일괄유물 중 사리기 세트이다. 1959년에 발견된 감은사지서삼층석탑내유물(보물 제366호)인 청동제사리기..

경주구황리금제여래좌상(慶州九黃里金製如來坐像)...황복사터 삼층석탑출토 국보 제79호 1934년 경주구황리 삼층석탑(국보 제37호)을 해체·복원할 때 나온 사리함에서 경주구황리 금제여래입상(국보 제80호)과 함께 발견되었다. 사리함에 새겨진 글에 의하면 통일신라 성덕왕 5년(706)에 사리함 속에 순..

경주구황리금제여래입상(慶州九黃里金製如來立像)...황복사터출토 국보 제80호 경주구황리금제여래좌상(국보 제79호)과 함께 경주구황리삼층석탑(국보 제37호)에 안치된 사리함 속에서 발견된 불상이다. 전체 높이 14㎝의 순금으로 만든 불상이며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를 모두 갖추고 있다. 민머리 ..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慶州 甘山寺 石造彌勒菩薩立像) 715년에 제작된 보살상으로 전체 높이 2.57m, 불상 높이 1.83m이며 국보 제81호로 지정되어 있다. 원래 경상북도 경주시 내동면 신계리감산사(甘山寺)에 봉안되어 있었던 것으로 함께 발견된 아미타여래입상과 함께 1915년서울로..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慶州 甘山寺 石造阿彌陀如來立像) 국보 제82호. 높이 1.74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미륵보살입상과 함께 경상북도 경주시 내동면 신계리 감산사지에 있었던 것을 1915년에 서울로 옮겨왔다. 전형적인 등신대 불상인데 광배 명문에 의하면 719년경에 당시 집사성 시랑을 지낸 김지성(金志誠)의 발원으로 조성된 것이며 양식면에서는 8세기 전기에 속하는 작품이다. 불신·광배·대좌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 이 불상은 불신과 대좌의 높이 비율이 3:1이고, 등신대의 불신에 적당한 광배로 전체적인 구도가 균형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렇게 균형을 이룬 구도는 형태에서도 잘 나타나 머리와 불신의 높이 비율이 1:4로, 굴불사지석불상 중 아미타상이나 벽도산 아미타상(碧桃山阿彌陀像)과 함께 인체..
천흥사 동종(天興寺 銅鐘) 국보 제280호 서울 용산구 한강로동 국립중앙박물관 전체 높이가 128.3cm로,점점 크기가 작아져 간 고려 시대의 종으로는 꽤 큰 편이며제작 수법이나 양식으로도 고려 시대 종의 대표로 칠 만하다.종 몸 가운데쯤에 위패 모양의 테를 새기고 그 안에 "聖居山天興寺..

나주 서성문 안 석등(羅州 西城門 안 石燈) 보물 제364호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168-6 국립중앙박물관 본래 전라남도 나주읍 서문 안에 있던 것을 1929년에 경복궁으로 옮겨놓은 것이다.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석등은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는 3단을 이루는 받..

영전사터보제존자사리탑(令傳寺址普濟尊者舍利塔) 이 사리탑은 원래 강원도 원주시의 영전사터(令傳寺址)에 있던 것인데 1915년 서울 경복궁으로 옮겨졌다. 이전 당시 사리탑 안에서 각종 사리 장엄구(舍利壯嚴具)가 나와 주목되었다. 이때 발견된 사리구로는 《청자발》, 《은제도금육각사리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