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신륵사 보물 (8)
바람처럼 떠나다

여주 신륵사 목조 아미타여래삼존상(驪州 神勒寺 木造 阿彌陀如來三尊像) 보물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천송동) 경기도 여주군 신륵사에 있는 조선시대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201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신륵사 극락보전에 봉안된 목조아미타여래좌상으로, 불상 내부에서 복장원문이 발견되어 1610년에 조각승 인일(仁日)과 수천(守天)에 의해 제작되었음이 밝혀졌다. 정확한 조성시기와 새로운 17세기 초 조각승의 발견으로 중요한 가치가 있는 작품이다.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좌우에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상이 서 있다. 이들 삼존상은 장방형 얼굴과 세장한 신체비례, 금엄하면서도 단정한 인상, 협시보살상의 각각 다른 착의 형식 등이 특징이다. 아미타여래좌상은 중품하생인을 하였으며 얼굴과 목이..

여주 신륵사대장각기비(神勒寺大藏閣記碑) 보물 제230호 경기 여주시 북내면 천송리 282 신륵사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 있는 고려후기 에 건립된 사적비. 보물.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383년(우왕 9) 건립. 높이 1.33m. 신륵사에는 원래 극락보전(極樂寶殿) 서쪽 언덕에 대장각이 있었는데, 그것은 고려 말의 이색(李穡)과 승려 나옹(懶翁)의 문도들이 발원하여 경률론(經律論) 삼장(三藏) 즉 대장경을 인출(印出)·수장하던 집이었고, 이 비는 대장각의 조성에 따른 여러 가지를 기록한 석비이다. 『동국여지승람』권7 여주목불우조 (驪州牧佛宇條)에 신륵사의 다른 이름은 보은사(報恩寺) 또는 벽사(?寺)라는 것과 나옹이 일진당(日眞堂)을 세우고 대장각이 있었음이 기록되어 있다. 즉 이색은 선왕 현릉(..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鐘 앞 石燈) 보물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 있는 고려시대 8각 석등. 보물.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1.94m. 고려시대 석등 중 우아한 형태와 장식성이 돋보이는 우수한 작품이다. 석조부도(石造浮屠)의 형식을 모방한 석등으로서, 상대(上臺)·하대(下臺)의 명확한 구별이 없이 한 돌로 구성된 점은 석등이 형식화되는 시대적 추이를 짐작하게 한다. 8각의 지대석 위로 8각의 하대와 복엽복판(複葉覆瓣)의 연꽃을 매우 두껍고 도식적으로 장식하였다. 간주석(竿柱石)은 짧아져 마치 석조부도의 중대(中臺)와 유사하며, 모서리마다 난간형(欄干形)을 장식하였다. 또한, 그 사이 면에는 안상(眼象)과 중앙 화문(花文)을 낮게 부..

여주 신륵사보제존자석종비(神勒寺普濟尊者石鐘碑) 보물 제229호 경기 여주시 북내면 천송리 282 신륵사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 있는 고려후기 에 건립된 보제존자 혜근의 탑비. 보물.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379년(우왕 5)에 건립. 전체높이 212㎝, 비신높이 121㎝, 너비 61㎝. 지대석과 3단의 장방형 대석 위에 비신을 얹었는데 상단의 대석에는 연꽃무늬를 새겼다. 비신은 대리석으로 양옆에 화강암기둥을 세워 보강하고, 그 위에 목조건물의 공포와 기왓골을 조각한 옥개석을 얹었다. 신라시대 이래로 귀부와 이수를 갖춘 일반화된 석비 형식이 고려 말기에는 대석과 옥개석으로 변형되기 시작하는데, 바로 이 비가 고려 말기의 석비 형식을 잘 보여준다. 보제존자 혜근은 선교양종의 통합운동을 통해 불교 재..

여주 신륵사보제존자석종(神勒寺普濟尊者石鐘) 보물 제228호 경기 여주시 북내면 천송리 282 신륵사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 있는 고려 후기의 승탑.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1.9m. 고려 말에 활동하였던 나옹(懶翁) 혜근(惠勤, 1320~1376)의 사리를 봉안한 승탑이다. 혜근의 사리를 안치한 또 하나의 승탑은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보물, 1963년 지정)으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공민왕의 왕사(王師)였던 혜근은 1376년(우왕 2)에 양주의 회암사(檜巖寺)에서 밀양의 영원사(塋源寺)로 가던 길에 신륵사에서 입적하였다. 1379년에 각신(覺信)과 각주(覺珠) 등이 주선하여 신륵사를 크게 중창한 뒤, 조사당 뒤쪽의 명당을 골라 혜근의 묘역을 마련하고서 승탑을 건립하였다...

여주 신륵사다층전탑(驪州 神勒寺多層塼塔) 보물 제226호 경기 여주시 북내면 천송리 282 신륵사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 있는 고려시대 다층 불탑. 전탑. 보물.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약 9.4m. 현존 유일의 고려시대 전탑이다. 지대석 위에 화강석의 장대석으로 7층의 기단을 쌓고, 4단의 층단을 만들어 밑에서부터 3·5·6·7단째에서 각각 체감되면서 층단이 되었고 화강석을 사용한 점은 기단의 전체 형태와 아울러 이색적이다. 기단에 사용한 장대석 가운데에서 최하단의 중간 돌과 제2단의 아래 돌은 다른 부재보다 높은 돌을 쓴 점이 주목된다. 기단 위에 1단의 화강석 옥신(屋身)받침을 마련하였음은 신라시대 전탑의 양식을 따른 것으로 보이며, 이 받침 위에 위로 갈수록 체감된 형태로 3단의 받침..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신륵사 다층석탑↘ 여주 신륵사다층석탑(驪州 神勒寺多層石塔) 보물 제225호 경기 여주시 복내면 천송리 282 신륵사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 있는 조선전기 백색 대리석으로 조성한 방형 평면 불탑. 보물.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m. 경내의 여러 건물배치와 석탑의 보존상태로 보아 현재의 위치가 원위치로 생각된다. 이 석탑은 백색 대리석으로 조성한 방형 평면의 석탑으로 2층의 기단부를 구성하고 그 위에 중적(重積)한 탑신부를 받고 있는 점은 신라나 고려시대의 일반형 석탑의 기본수법을 따르고 있으나 각 부재(部材)의 세부조형에 있어 전혀 양식을 달리하고 있다. 소규모의 석탑으로서, 기단부부터 탑신부에 이르기까지 각 층의 부재를 모두 1매석씩으로 구성하였는데, 이는 그 재료가 구..

여주 신륵사조사당(神勒寺組師堂) 보물 제180호 경기 여주시 북내면 천송리 282 신륵사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 있는 조선전기 다포식 팔작지붕의 사찰건물. 당우. 보물.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정면 1칸, 측면 2칸의 다포식(多包式) 팔작지붕건물. 처마는 부연(浮椽)이 있는 겹처마이고, 내부는 통간(通間)으로 되어 있다. 장대석으로 한벌 쌓은 낮은 기단 위에 주좌(柱坐)를 쇠시리(두 골이 나게 함)한 고격(古格)의 다듬은 초석을 놓고, 그 위에 두리기둥을 세웠다. 기둥 윗몸은 창방(昌枋)으로 결구하고 그 위에 평방(平枋)을 놓았으며, 공포(?包)를 기둥 위에는 물론 기둥 사이 평방 위에도 놓아 다포식을 이루고 있다. 공포의 짜임은 외2출목(外二出目)·내2출목(內二出目)으로 살미첨차[山彌?遮]는 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