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바람소리/박물관 (211)
바람처럼 떠나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blogfile/fs7/29_1_5_1_03UvL_IMAGE_20_2000.jpg?original)
경주구황리금제여래입상(慶州九黃里金製如來立像)...황복사터출토 국보 제80호 경주구황리금제여래좌상(국보 제79호)과 함께 경주구황리삼층석탑(국보 제37호)에 안치된 사리함 속에서 발견된 불상이다. 전체 높이 14㎝의 순금으로 만든 불상이며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를 모두 갖추고 있다. 민머리 ..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慶州 甘山寺 石造彌勒菩薩立像) 715년에 제작된 보살상으로 전체 높이 2.57m, 불상 높이 1.83m이며 국보 제81호로 지정되어 있다. 원래 경상북도 경주시 내동면 신계리감산사(甘山寺)에 봉안되어 있었던 것으로 함께 발견된 아미타여래입상과 함께 1915년서울로..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慶州 甘山寺 石造阿彌陀如來立像) 국보 제82호. 높이 1.74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미륵보살입상과 함께 경상북도 경주시 내동면 신계리 감산사지에 있었던 것을 1915년에 서울로 옮겨왔다. 전형적인 등신대 불상인데 광배 명문에 의하면 719년경에 당시 집사성 시랑을 지낸 김지성(金志誠)의 발원으로 조성된 것이며 양식면에서는 8세기 전기에 속하는 작품이다. 불신·광배·대좌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 이 불상은 불신과 대좌의 높이 비율이 3:1이고, 등신대의 불신에 적당한 광배로 전체적인 구도가 균형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렇게 균형을 이룬 구도는 형태에서도 잘 나타나 머리와 불신의 높이 비율이 1:4로, 굴불사지석불상 중 아미타상이나 벽도산 아미타상(碧桃山阿彌陀像)과 함께 인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blogfile/fs10/29_1_5_1_03UvL_IMAGE_18_1837.jpg?original)
춘궁리철조석가여래좌상(春宮里鐵造釋迦如來坐像) 남한산성이 용의 머리,춘궁동은 용의 꼬리에 해당한다고 한다.그 백제 궁터 춘궁동엔 서로 아우르듯 사방에 절이 있었다는데 애석하게도 오늘날 온전히 남아 있는 절은 없다.아니,절터마저도 흔적이 없다 다만 이 지역에 대단한 사찰이 있었던 것만은 확실시되고 있는 가운데 춘궁동 절터 옆 하사창동에서 거대한 철불이 발견되었다.일제강점기에 어디론가 옮겨졌다가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높이가 2.88m나 되는 이 철불은 고려시대 초기작으로 철을 다루는 기술이 보다 세련된 시기에 조성되었음을 보여주는 불상이다.솜씨가 정교하고 전체적인 균형감도 뛰어나다.다만 둥글고 원만한 얼굴형인 데 비해 윤곽은 작고 날카로워 우직스런 인상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큼직한 백호 아..
천흥사 동종(天興寺 銅鐘) 국보 제280호 서울 용산구 한강로동 국립중앙박물관 전체 높이가 128.3cm로,점점 크기가 작아져 간 고려 시대의 종으로는 꽤 큰 편이며제작 수법이나 양식으로도 고려 시대 종의 대표로 칠 만하다.종 몸 가운데쯤에 위패 모양의 테를 새기고 그 안에 "聖居山天興寺..
안흥사오층석탑 (安興寺五層石塔) 안흥사 오층석탑은 경기도 이천시의 안흥사 절터에서 1916년 경복궁으로 옮겨진 후 현재 국립박물관 야외석조전시장에 옮겨 세워졌다. 탑의 형태는 이층기단 위에 세워진 오층석탑으로 상.하층 기단의 벽면에는 1개의 사이기둥과 2개의 귀기둥이 새겨져 있다. 기단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blogfile/fs5/29_1_5_1_03UvL_IMAGE_7_783.jpg?original)
안흥사오층석탑 (安興寺五層石塔) 안흥사 오층석탑은 경기도 이천시의 안흥사 절터에서 1916년 경복궁으로 옮겨진 후 현재 국립박물관 야외석조전시장에 옮겨 세워졌다. 탑의 형태는 이층기단 위에 세워진 오층석탑으로 상.하층 기단의 벽면에는 1개의 사이기둥과 2개의 귀기둥이 새겨져 있다. 기단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blogfile/fs7/29_1_5_1_03UvL_IMAGE_7_720.jpg?original)
서울홍제동오층석탑(서울弘濟洞五層石塔) 이 석탑은 고려< 高麗 > 정종< 靖宗 > 11년(1045)의 사현사<沙峴寺 > 창건 당시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사현사 터(현 서울 홍제동)에서 1970년에 경복궁으로 옮긴 것이다.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기단 구조가 없이 자연석으로 탑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