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바람소리/박물관 (211)
바람처럼 떠나다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鍾) 국립경주박물관에 들어서면 오른쪽 뜰에 에밀레 종이 있다 시주로 바쳐진 어린아이가 종 속에 녹아들어가 '에밀레,에밀레'하고 운다고 하여 에밀레종이라는 이름이 붙은 유명한 성덕대왕신종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제야(除夜)에 서른세 번 타종(打鐘)되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blogfile/fs4/29_1_5_1_03UvL_IMAGE_6_648.jpg?original)
*토우 붙은 장식항아리 목이 긴 항아리 어깨 부위에 새,오리,거북이 등과 함께 개구리를 물고 있는 뱀,가야금을 타고 있는 임신한 여자 밑으로 기어들어가는 뱀,남녀의 성행위 장면들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풍요한 생산력을 빌고 벽사의 뜻으로 동물을 만들어 붙인 것으로 여겨진다.국보 제 195호로 지정되어 있다 *서수형 토기 거북이 몸에 용이 합쳐진 듯한 형상의 서수형(瑞獸形) 토기는 지금의 대릉원을 정비할 때 담장자리에서 발굴되었다 주전자처럼 물을 따를 수 있으나 실용이 목적은 아니고 명기(明器)로 쓰였을 터이다.보물 제 636호로 지정되어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blogfile/fs2/29_1_5_1_03UvL_IMAGE_5_536.jpg?original)
치미 옛날 황룡사의 규모를 추정할 수 있는 것 중의 하나가 망새(전통 건축물의 용마루 양쪽 끝머리에 얹는 상징적인 장식기와)라고 불리는 건물의 치미이다 치미는 화재를 예방하는 주술적인 기능도 함께 지니고 있다 황룡사 강당 자리 북동쪽에서 출토된 높이 182cm 최대 폭 105cm 의 대형 치미는 우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blogfile/fs7/29_1_5_1_03UvL_IMAGE_4_486.jpg?original)
*모란무늬 편병 *물고기무늬 매병 *물고기무늬 장군 *물고기연꽃무늬병 *복숭아연적 *사자장식 주전자와 받침 *산모양 필세(筆洗) *석류모양 주전자 *어룡모양 주전자 *연꽃무늬 베개 *연꽃물고기무늬 병 *용머리장식 붓꽂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blogfile/fs9/29_1_5_1_03UvL_IMAGE_4_475.jpg?original)
*끈무늬병-보물 제 1060호 *달항아리-보물 제 1437호 *매화 대나무 학무늬매병-보물 제 903호 *모란 갈대무늬 매병-보물 제 345호 *모란넝쿨무늬 항아리-보물 제 240호 *물가풍경무늬 정병-보물 제 344호 *뿔잔-보물 제 1061호 *잎무늬 매병-보물 제 340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blogfile/fs6/29_1_5_1_03UvL_IMAGE_4_474.jpg?original)
*구름 용무늬 항아리-국보 제 259호 *국화넝쿨무늬찻사발-국보 제 115호 *매화 대나무무늬 항아리-국보 제 166호 *매화 대나무 새무늬항아리-국보 제 170호 *모란 넝쿨무늬 조롱박모양 주전자-국보 제 116호 *모란무늬 자라병-국보 제 260호 *모란무늬 항아리-국보 제 98호 *버드나무 무늬병-국보 제 113호 *사람모양 주전자-국보 제 167호 *연꽃넝쿨무늬 대접-국보 제 175호 *연꽃넝쿨무늬 애병-국보 제 97호 *참외모양 병-국보 제 94호 *칠보무늬 향로-국보 제 95호 *포도 원숭이무늬 항아리-국보 제 93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blogfile/fs6/29_1_5_1_03UvL_IMAGE_4_467.jpg?original)
봉림사 진경대사보월능공탑(鳳林寺眞鏡大師寶月凌空塔) 본래 경상남도 창원군 상남면 봉림리 봉림사터에 건립되어 있었던 것을 옮겨온 것이다 이 부도는 봉림산문(鳳林山門)의 개산인(開山人)진경대사의 묘탑으로 신라의 전형적인 팔각 원당형을 기본으로 삼아 기단 위에 탑신부와 옥개석,상륜부를 차례로 올려 놓고 있다 기단부는 상.중.하대석으로 이루어졌으며 각 1석씩이 중척되었다.팔각 하대석의 측면에는 각면에 양 우주를 포함한 장방형의 구간을 마련하고 그 안에 신라 통식의 안상을 1구씩 음각하였는데 특히 각 안상의 하단 중앙에는 지선에서 삼산문(三山紋)이 솟아오른 형태를 만들어 시대적인 특징을 보이고 있다.그러나 중대석은 평면이 원형이며 편구형(扁球形)으로 이루어진 중대석 측면에는 사방에 1구씩의 안상을 음각하였는데 그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blogfile/fs7/29_1_5_1_03UvL_IMAGE_4_470.jpg?original)
진공대사 부도와 돌함(眞空大師浮屠 石函) 국립중앙박물과에서 관리하고 있는 이 부도는 돌함이 딸려 있어 여느 부도와 크게 다르다 나말여초(羅末麗初)의 고승으로 태조의 왕사가 되어 두터운 신임을 받은 진공대사 부도인데 그 부속으로 돌함(石函)이 딸려 있다 여러 장의 돌로 이루어진 방형의 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blogfile/fs10/29_1_5_1_03UvL_IMAGE_2_292.jpg?original)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開城 南溪院址 七層石塔) 국보 제100호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168-6 국립중앙박물관 경기도 개성 부근의 남계원터에 남아 있던 탑으로, 예전에는 이 터가 개국사(開國寺)의 옛터로 알려져 개국사탑으로 불려져 왔으나, 나중에 남계원의 터임이 밝혀져 탑의 이름도 남계원칠층..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blogfile/fs3/29_1_5_1_03UvL_IMAGE_5_503.jpg?original)
경천사지십층석탑(敬天寺址十層石塔) 경천사(敬天寺)에 대한 기록 중 가장 오래된 것은 『고려사』에 나오는 것으로 예종(睿宗)이 이곳에서 숙종(肅宗)의 추모제를 열었다는 기록이다.그 후 계속해서 고려 왕실의 추모제가 열렸으며 조선 태조대까지 이어진 것으로 보아 왕실의 원찰(願刹)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경천사지석탑은 대리석으로 만들어졌는데,대리석은 이전에 탑의 재료로 사용하지 않았다.평면 구조는 亞자형 형태와 4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째,탑신에 비해 낮고 3중으로 된 기단은 정사각형 한 변에 직사각형이 돌출되어 亞자형 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그 위에 기단과 동일한 형태의 탑신이 3중으로 올려져 있다.둘째,4층부터는 정사각형의 탑신과 지붕이 10층까지 이어져 있으며 그 위로 상륜부가 설치되어 있다.이러첨 경천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