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바람소리/박물관 (211)
바람처럼 떠나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blogfile/fs6/29_1_5_1_03UvL_IMAGE_7_740.jpg?original)
영전사터보제존자사리탑(令傳寺址普濟尊者舍利塔) 이 사리탑은 원래 강원도 원주시의 영전사터(令傳寺址)에 있던 것인데 1915년 서울 경복궁으로 옮겨졌다. 이전 당시 사리탑 안에서 각종 사리 장엄구(舍利壯嚴具)가 나와 주목되었다. 이때 발견된 사리구로는 《청자발》, 《은제도금육각사리기》,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blogfile/fs9/29_1_5_1_03UvL_IMAGE_7_751.jpg?original)
현화사석등(玄化寺石燈) 고려 현종(顯宗)10년(1020) 개성 현화사에 세운 석등이다 규모가 큰 이 석등으로 미루어 당시 국가 대찰(大刹)로 창건된 현화사의 명성을 짐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석등의 화사창(火舍窓)은 8각으로 된 것이 많은데 이 석등은 4각이며 火窓)도 따로 없이 사방으로 시원하게 트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blogfile/fs3/29_1_5_1_03UvL_IMAGE_7_734.jpg?original)
천수사오층석탑(泉水寺五層石塔) 하층기단의 갑석 아래 부재는 없어졌다 각각의 탑신부 몸돌은 한 개의 돌로 이루어졌으며 2층 몸돌부터는 그 높이가 급격히 낮아진다 지붕 처마에는 각 층마다 3단의 받침이 있으며 네 모서리에는 풍탁을 단 작은 구멍이 네 개씩 남아 있다 탑 꼭대기 장식인 상륜부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blogfile/fs8/29_1_5_1_03UvL_IMAGE_7_745.jpg?original)
천수사삼층석탑(泉水寺三層石塔) 천수사삼층석탑은 원래 강원도 원주 본부면 가마지절터에 있던 영천사 삼층석탑(가마지삼층석탑)이며,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탑의 몸체를 받치고 있는 기단부는 통일신라시대 석탑에서 보이는 2층 기단 형식으로 탑의 몸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blogfile/fs5/29_1_5_1_03UvL_IMAGE_7_756.jpg?original)
북묘 비(北廟 碑) 이 비석은 중국 삼국시대 촉한(蜀漢)의 장수 관우(關羽)를 기리기 위해 조선 고종(高宗) 20년(1883)에 세운 북묘(北廟)에 있던 것이다 북묘는 서울 명륜동 흥덕골에 있었다고 하나,현재는 그 터만 남아 있다 비석은 4년 후인 고종 24년(1887)에 세웠다 비문은 우리나라에서 관우를 기리게 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blogfile/fs2/29_1_5_1_03UvL_IMAGE_7_711.jpg?original)
갈항사삼층석탑(葛項寺東西三層石塔) 갈항사삼층석탑은 건립연대가 밝혀진 많지 않은 신라 석탑의 하나라는 점, 신라시대 석탑으로는 유일하게 기단부에 금석문이 남아 있다는 점, 석가탑,즉 불국사 삼층석탑에서 완성을 본 신라 석탑의 전형양식이 어떻게 경주를 벗어나 파급.확산되는지를 예증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blogfile/fs9/29_1_5_1_03UvL_IMAGE_6_675.jpg?original)
염거화상부도(廉居和尙부도) 이 부도는 탑지(塔誌)가 함께 전해져, 승탑의 주인공과 만들어진 연대를 알 수 있는 매우 귀중한 부도이다 신라 문성왕(文聖王)6년 (844)에 선종(禪宗)산문(山門)가운데 하나인 가지산문(迦智山門)의 제 2대 선사인 염거화상(廉居和尙. ?~844)을 위해 만든 것으로 팔각집(八角..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blogfile/fs1/29_1_5_1_03UvL_IMAGE_7_776.jpg?original)
보리사대경대사현기탑비(菩提寺大鏡大師玄機塔碑) 고려시대 초기의 승려인 여암(麗巖)의 탑비. 939년 건립. 보물 제361호. 높이 350㎝. 원래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연수리 미지산 보리사지에 있던 것을 옮겨온 것이다. 전체적으로 비좌(碑座)인 귀부(龜趺)와 이수(螭首)의 비례가 맞지 않지만 고려시대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blogfile/fs10/29_1_5_1_03UvL_IMAGE_4_498.jpg?original)
거돈사 원공국사부도(居頓寺圓空國師浮屠) 원공국사승묘탑(圓空國師勝妙塔)이라 불리는 이 부도는 원래 부도비와 짝을 이루어 거돈사터에 있었다 일제강점기 때 서울에 살던 일본인이 제 것으로 삼을 양 서울로 옮겨간 것을 회수 1948년에 경복궁으로 옮겼다가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부도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