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풍경소리/경 남 (148)
바람처럼 떠나다

단속사지서삼층석탑(斷俗寺址西三層石塔) 보물 제73호 경남 산청군 단성면 운리 단속사 옛터의 금당터 앞에는 동서로 두 탑이 서 있는데 그 중 서쪽에 세워진 것이 이 탑이다.2단의 기단(基壇)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전형적인 모습이나,동탑에 비하여 많이 부서지고 안에 봉안된 사리함이 도난당하는 등 많은 수난을 겪었다. 기단에는 각 면의 모서리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는데,아랫단은 가운데에 2개씩을 두고 윗단은 1개씩 두었다.탑신의 지붕돌은 처마를 직선으로 처리하였으며,밋밋한 경사가 흐르는 윗면은 네 귀퉁이에서 하늘을 향해 살짝 들어 올렸다. 지붕돌을 경쾌하게 처리한 점이나, 탑의 윗부분으로 갈수록 크기가 알맞게 줄어드는 수법에서 통일신라 석탑의 전형을 계승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아래기단의 너비가..

단속사지동삼층석탑(斷俗寺址東三層石塔) 보물 제72호 경남 산청군 단성면 운리 단속사 옛터의 금당터 앞에는 동서로 두 탑이 서 있는데 그 중 동쪽에 세워진 것이 이 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전형적인 모습이다. 기단의 아래층은 ‘ㄴ’자 모양의 돌을 이용해 바닥돌과 동시에 만들어졌다. 그 위로 기단을 한 층 더 올린 후 몸돌과 지붕돌을 교대로 쌓은 탑신을 올려놓았다. 꼭대기에는 네모난 받침돌 위로 머리장식의 일부가 남아있다. 전체적으로 상·하의 비례가 알맞고 위로 오를수록 탑신의 크기가 알맞은 크기로 구성되어 있어 그 모습이 아름답게 보인다. 함께 세워져 있는 서탑과 비교할 때 그 규모와 수법이 거의 동일하여 같은 시대의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쌍탑의 배치와 더불어 주목되는 작..
내원사 석조비로자나불상(內院寺石造毘盧舍那佛坐像) 원만하고 자비로운 얼굴표정과 안정감 있는 풍모가 돋보이는 내원사 비로자나불상은 우리나라에서 연대를 알 수 있는 가장 오래된 불상이다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어디나 두루 비치는 햇빛이라는 뜻)은 『화엄경』의 주존불로 대개 대적광전(大寂光殿)이나 비로전(毘盧殿)에 모셔지고 있으며 비로사나(毘盧舍那).노사나(盧舍那)라고도 한다.진리의 세계를 두루 비추며 통솔하는 부처인 동시에 또 진리의 세계 그자체를 상징하고 있는 광명(光明)의 부처이다.지권인(智拳印)을 취한 모습이 다른 부처들과는 뚜렷이 다르다.부처가 깨달은 진리의 세계를 스스로 체험하고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갖가지 재액을 없애고자 하는 바람에서 널리 모셨으며 특히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에 걸쳐 크게 받아들..
내원사삼층석탑(內院寺三層石塔) 내원사삼층석탑은 철분이 많은 석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부분에 모각된 우주와 탱주도 굵게 모각되어 튼튼해 뵌다 그러나 층층마다 훼손이 심하다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일반형 삼층석탑으로 2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렸는데 하층기단에는 우주 사이에 탱주가 둘,상층기단에는 우주와 탱주가 각 하나씩 새겨져 있다 1층 몸돌의 표면의 조각을 전혀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깨져 나갔으며 각층 지붕돌의 층급받침은 모두 4단씩이다 1층 지붕돌의 층급받침과 3층 지붕돌의 일부가 많이 상했다.상륜부는 남아 있지 않다 1950년 무렵 도굴꾼에 의해 파괴된 것을 1961년 복원해놓은 상태이다.높이는 4.54m. 내원사 삼층석탑은 보물 제1113호로 지정되어 있다 *한국문화유산답사회 지음 '..
대원사다층석탑(大源寺多層石塔) 대원사 다층석탑은 이중의 기단위에 9층의 탑신이 놓이고,1층 몸돌 네 모서리에 석인상이 조각된 모습이 독특한 다층석탑이다.전하는 이야기로는 신라 선덕여왕 15년(646)에 자장율사가 세웠다고 한다 마멸이 심해 잘 알아보기는 힘들지만 1층 몸돌 면석에 팔부중상을 새기고 네 모서리에는 묘 앞의 문인석 같은 인상을 주는 석인상이 탑을 받치고 있는데 이런 수법은 매우 독특하여 유사한 사례가 없다.단순화 시킨 형태미가 돋보이는 석인상에서는 현대적인 감각마저 엿보인다 이 석인상 위에 놓인 각 층의 몸돌과 지붕돌은 높이에 별다른 차이가 없고 다만 너비만을 좁혀가며 탑의 비례를 맞추고 있어 매우 커 보인다.탑의 전체 높이는 6.6m이다 철분이 많은 돌이어서 붉은 물이 스며나와 강렬한 인상..
해인사장경판전(海印寺藏經板殿) 국보 제52호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10 해인사 장경판전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8만여장의 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건물로, 해인사에 남아있는 건물 중 가장 오래 되었다. 처음 지은 연대는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조선 세조 3년(1457)에 크게 다시 지..
해인사석등(海印寺石燈) 시도유형문화재 제255호(합천군)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10 해인사 대적광전 아래쪽의 3층 석탑 앞에 자리하고 있는 석등으로, 불교의식을 행할 때 불을 밝혀두는 기구이다. 등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에 3단의 받침을 두었고, 위로는 지..
해인사삼층석탑<정중탑>(海印寺三層石塔<庭中塔>) 시도유형문화재 제254호(합천군)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10 해인사의 대적광전 아래 서 있는 석탑으로, 넓은 뜰 한가운데에 자리잡고 있어 일명 ‘정중탑(庭中塔)’이라고도 불린다. 탑은 3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리고 ..
해인사 국사단(海印寺局司壇) 해인사 앞산에 올라보면 험준한 가야산 자락의 밝고 고요한 터에 해인사가 자리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마치 가야산의 울창한 숲은 풍랑이 이는 바다와 같고 해인사는 그 바다 가운데에 피어난 한 송이 연꽃과도 같다.화엄의 세계,연화장 세계가 바로 이를 말함이 아닌가 그만큼 해인사의 건축은 불리한 자연 지형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있다.이 점이 해인사의 가장 뛰어난 건축적 가치다.다시 말해 해인사를 해인사답게 만든 것은 땅의 형성에 자연스럽게 적응하는 지혜였다.일주문 까지의 길다란 진입로와, 일주문 - 봉황문 - 해탈문 - 구광루 등 여러 단계의 입구들을 지나면서 만나는 의외의 장면들은 모두 특별한 방법으로 땅을 이용하면서 생겨난 모습들이다 미학적 수사보다도 더 흥미를 끄는 것은 국사단..
해인사 묘길상탑(妙吉祥塔) 해인사 일주문 못미처 이런저런 스님들이 부도비가 들어선 해인사 비석거리 한 옆에 푸른 이끼 곱게 앉은 자그마한 삼층석탑 하나가 있다.묘길상탑(妙吉祥塔)이다.그냥 길상탑이라 부르기도 한다.전체 높이 3m쯤으로 크기만 작을 뿐 이중기단에 3층 탑신,5단의 처마받침을 가진 전형적인 신라탑이다 보통 탑이라면 층수에 따라 구별하여 보통명사로 부를 뿐,이 탑처럼 고유명사로 지칭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그러면 어찌하여 이 작은 탑은 저만의 이름을 달게 되었을까? 또 탑이라면 으례 법당 앞마당에 자리하게 마련이다.그런데 왜 이탑은 많은 사람 오르내리는 길가에 서 있는 걸까? 1966년 여름 일단의 도굴꾼들이 검찰에 검거되고 아울러 탑 안에 안치했던 지석(誌石) 4매와 157개의 흙으로 빚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