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풍경소리/충 남 (231)
바람처럼 떠나다
관촉사관음보살입상(灌燭寺觀音菩薩立像) 은진미륵(恩津彌勒) 우리 나라에서 가장 큰 미륵불이라는 이 부처는 온몸의 길이가 19m,둘레 9.2m,귀 길이2.7m,눈썹 사이 1.8m,큰 갓의 가로 3.3m라는 말만으로도 그 엄청난 크기가 느껴진다 전체적으로 얼굴과 보관이 하나인 머리 부분이 한 돌,가슴..
쌍계사 대웅전(雙溪寺 大雄殿) '쌍계사'라는 현판이 걸린 누마루 강당 봉황루와 그 오른쪽에 있는 배롱나무 사이로 돌아가면 절 마당 좁은 터를 꽉 채운 듯한 대웅전이 자리하고 있다 정면 5칸,측면 3칸의 이 집은 돌축대 위에 세워진 단층팔작집으로 조선 후기의 건물답게 다포계의 공포..
수덕사 대웅전(修德寺大雄殿) 대웅전은 경내에서 가장 높은 곳에 남향하여 앉아 있다 장대석을 쌓아 이룬 축대 위에 의젓하게 앉은 이 건물은 1308년에 세워진 것으로 안동 봉정사 극락전,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에 이어 우리 나라에서 손꼽는 오래 된 건물이다 1937년에 해체 수리를 할 때 ..
수덕사삼층석탑(修德寺三層石塔) 예산군 유형문화재 제103호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수덕사 대웅전 앞에 자리한 고려시대 3층 석탑이다. 형태는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위·아래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새겼다. 지..
부여 만수리장승(保寧萬壽里長丞) 무량사 들목의 마을이 만수리인데 마을 당산나무 오른쪽에 장승을 모시고 있다 흔히 '무량사 장승'이라고 부르나 사찰장승이라기보다는 마을장승이다 본래는 길 양쪽으로 벌여 섰던 것이나 찻길이 나면서 한쪽으로 모았고 시멘트로 단단하게 고정시킨 듯하다 만수..
김시습부도(金時習浮屠) 조선 시대에 번창했던 많은 절들이 그렇듯이 여기에도 이 절에 인연이 있는 스님들의 부도가 옹기종기 모여 있어 이 절집의 내력과 사세를 말해 준다 그런데 정작 거기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매월당 김시습의 부도이다 조선 시대의 부도들이 대개 석종형이나 달걀형으로 ..
무량사극락전(無量寺極樂殿) 무량사의 본전에 걸맞게 전각 명칭이 극락전이다 곧 하나같이 다 이 절집이 극락세계임을 뜻하는 이름들이다 무량사는 임진왜란 때 크게 불탄 뒤 인조 때에 중창하였으니 이 극락전도 그때에 지은 것으로 족선 중기 건축의 장중한 맛을 잘 드러내 주어 보물 ..
무량사석등(無量寺石燈) 보물 제233호인 탑 앞의 석등도 선이나 비례가 매우 아름답다 상대석과 하대석에 통통하게 살이 오른 연꽃이 조각되어 있고 팔각의 화사석을 갖추고 있는 점 등이 통일신라 이래 우리 나라 석등의 전형적인 모습을 갖춘 고려 초기 석등이다 상대석이 좀 좁은 편이..

무량사오층석탑(無量寺五層石塔) 오층석탑을 마주하면 매우 장중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나지막한 2층 기단 위에 매우 안정된 비례로 5층을 올렸는데, 밑변 5.2m의 널찍한 기단 위에 7.5m 높이로 올린 탑이라 안정감을 준다 그러면서도 층층이 쌓아올린 적당한 체감으로 불안하지 않은 상승감도 갖추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