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풍경소리 (1855)
바람처럼 떠나다
광주 신용동오층석탑(光州廣域市 新龍洞五層石塔)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2호 광주 광산구 신룡동 57-1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룡동에서 낙암산(樂菴山)쪽으로 약 300∼400m 떨어진 외딴 민가(民家) 옆에 우뚝 솟아 있다. 어느 때부터인지 몰라도 기단부(基壇部)의 중석(中石)과 지대(地臺)..
광주 백룡사지부도(白龍寺址浮屠) 지정사항없음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곡동 두정리 457 백룡사(白龍寺) 부도(浮屠)는 대웅전(大雄殿)에서 남서로 150여 미터 떨어진 입구에 있다. 그 부도 형태는 모두 석종형(石鐘形)으로서 그 중 동회당(洞晦堂)이라 쓰여진 부도는 4각 기단으로 기단 각 모..
광주광역시 월봉서원(光州廣域市 月峯書院)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동 452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동에 있는 서원. 1578년(선조 11)에 김계휘(金繼輝)를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의 공의로 기대승(奇大升)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광산군 비아면 산월리에 망천사(望川祠)를 창건하여 ..
안양 중초사지삼층석탑(安養 中初寺址三層石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64호 경기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212-1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에 있는 고려 중기의 석탑. 높이 2.22m. 본래 이 탑은 중초사지당간지주(中初寺址幢竿支柱, 보물 제4호)에서 동북쪽으로 약 80m 되는 밭 가운데 무너져 ..
안양 석수동마애종(安養 石水洞磨崖鐘)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2호 경기 안양시 만안구 석수1동 산32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에 있는 신라말 고려초의 종. 높이 4m, 너비 3m. 경기도유형문화재 제92호. 우리 나라 유일의 마애종으로 가사를 걸친 한 승려가 사각형의 목가에 쇠사슬로 매..
포항 오어사 부도전(浦項 吾魚寺浮屠殿) 지정사항 없음 경북 포항시 남구 오천읍 항사리 34 오어사 경내에서 자장암 방면으로 나 있는 등산로 입구에 오어사에 주석하였던 역대 고승들의 부도와 탑비가 모아져 있다. 부도 7기와 비석 1기가 그것인데, 7기 중 5기에 명문이 있어 부도의 주인..
포항 오어사동종(浦項 吾魚寺 銅鍾) 보물 제1280호 경북 포항시 남구 오천읍 항사리34 오어사 경상북도 영일군 오천읍 오어사(吾魚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범종. 보물 제1280호. 높이 93.5㎝. 몸체에 새겨진 명문에 동화사(桐華寺) 스님들이 공동으로 발원하여 삼백 근의 중량을 들여 오어사에..
포항 오어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浦項 吾魚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시도유형문화재 제498호 경북 포항시 남구 오천읍 항사리 34 이 불상은 중앙의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약사불과 아미타불이 협시하고 있는 석가삼존불상이다. 주존인 석가불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지..
포항 오어사 대웅전(浦項 吾魚寺大雄殿) 문화재자료 제88호(포항시) 경북 포항시 남구 오천읍 항사리 34 대웅전(大雄殿)은 석가 삼존불을 주불로 모신 전각으로, 오어사(吾魚寺)의 중심 건물이다. 오어사의 창건은 신라 진평왕대로 전하지만, 대웅전의 초창 연대는 전하지 않는다. 지금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