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풍경소리 (1855)
바람처럼 떠나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e0Hk/btsxtVLMv8h/7kEnO90zUeLOfRpnYysP0K/img.jpg)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신륵사 다층석탑↘ 여주 신륵사다층석탑(驪州 神勒寺多層石塔) 보물 제225호 경기 여주시 복내면 천송리 282 신륵사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 있는 조선전기 백색 대리석으로 조성한 방형 평면 불탑. 보물.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m. 경내의 여러 건물배치와 석탑의 보존상태로 보아 현재의 위치가 원위치로 생각된다. 이 석탑은 백색 대리석으로 조성한 방형 평면의 석탑으로 2층의 기단부를 구성하고 그 위에 중적(重積)한 탑신부를 받고 있는 점은 신라나 고려시대의 일반형 석탑의 기본수법을 따르고 있으나 각 부재(部材)의 세부조형에 있어 전혀 양식을 달리하고 있다. 소규모의 석탑으로서, 기단부부터 탑신부에 이르기까지 각 층의 부재를 모두 1매석씩으로 구성하였는데, 이는 그 재료가 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JKrhv/btswUTXnr9H/o4uy1FYO6KldUaeYfcfrX0/img.jpg)
여주 신륵사 삼화상진영(驪州 神勒寺 三和尙 眞影) 경기도 문화재자료 경기 여주시 복내면 천송리 282 신륵사 본 삼화상진영은 신륵사의 중요 인물인 나옹화상의 정통성을 보여주는 주요한 작품으로 현재 전국 사찰에 전하는 1,000여점의 진영 가운데 데 삼화상 진영은 매우 드물어 자료적인 측면에서는 희귀하나, 조사들의 성품을 부각시키는 전신성이 약하고 제작연대도 불분명하다. *문화재청자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dCMkJ/btswbyrVS7L/Sr4nMz73ebL5tYh0Gyo3p1/img.jpg)
여주 신륵사 건륭삼십팔년명 동종 (驪州 神勒寺 乾隆三十八年銘 銅鐘) 경기도 유형문화재 경기 여주시 복내면 천송리 282 신륵사 신륵사 대웅전에 소장된 종으로, 한국 전통형 종보다는 중국 종의 양식이 많이 반영된 작품이다. 종의 몸체 위에 솟아있는 정상부에는 하나의 몸체로 연결된 굵고 힘에 넘친 쌍룡의 용뉴(龍鈕)가 조각되었으며 음통은 보이지 않는다. 이 두 마리의 쌍룡은 머리를 천판에서 띠어 앞을 바라보고 있는 모습으로서 불거진 눈과 벌려진 입 안에 날카로운 이빨과 갈기까지 생동감 넘치게 묘사되어 생동감이 넘친다. 하대 위의 종의 몸체 여백을 돌아가며 군데군데 오려 붙인 듯한 방형의 명문곽(銘文廓)을 만들고, 그 안에 양각의 명문을 새겼다. 명문 중에 종의 제작자로 기록된 ‘도편수(都片手) 이만숙(李萬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rYpd/btswPUfMh6G/CQOeK0LWDjGAfb9rUDLHWk/img.jpg)
여주 신륵사조사당(神勒寺組師堂) 보물 제180호 경기 여주시 북내면 천송리 282 신륵사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 있는 조선전기 다포식 팔작지붕의 사찰건물. 당우. 보물.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정면 1칸, 측면 2칸의 다포식(多包式) 팔작지붕건물. 처마는 부연(浮椽)이 있는 겹처마이고, 내부는 통간(通間)으로 되어 있다. 장대석으로 한벌 쌓은 낮은 기단 위에 주좌(柱坐)를 쇠시리(두 골이 나게 함)한 고격(古格)의 다듬은 초석을 놓고, 그 위에 두리기둥을 세웠다. 기둥 윗몸은 창방(昌枋)으로 결구하고 그 위에 평방(平枋)을 놓았으며, 공포(?包)를 기둥 위에는 물론 기둥 사이 평방 위에도 놓아 다포식을 이루고 있다. 공포의 짜임은 외2출목(外二出目)·내2출목(內二出目)으로 살미첨차[山彌?遮]는 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9NzWt/btsv0w9FneV/8dSyGXtReF5NH3ZODyevt0/img.jpg)
여주 청안리 미륵불(驪州淸安里彌勒佛) 지정사항 없음 경기 여주시 점동면 청안리 전체 높이 200cm, 너비 130cm, 두께 60cm이다. 가건물로 된 보호각 내에 있다. 화강암으로 된 입상 앞면에 얼굴과 신체를 조각하였으며 목이 짧고 신체는 머리에 비해 너비가 좁은 편이다. 머리 부분은 원만형(圓滿刑)으로 눈이 둥글고 귀는 어깨까지 닿으며 민머리에 육계가 낮다. 통견으로 된 법의는 어깨에 사선 모양의 주름, 손 아래에 ∨자형 주름이 잡혀 있다. 손바닥을 가슴 중앙부에 대고 수인을 짓고 있으며 왼손은 엄지와 검지를 마주 대고 가운뎃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땅바닥을 향해 편 모습이다. 오른손은 형태가 희미하다. *두디피아 자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KbDke/btsv9O8GNZk/x1d44EKq1VyXXWQwaCS02k/img.jpg)
여주 구곡사 석불입상(驪州 舊谷寺 石佛立像) 향토유적 제22호 경기 여주시 가업동 155-24 석불입상은 대웅전 축대 앞에 외부 얕은 단에 봉안되어 있으며, 불상의전체 높이는 194㎝, 최대 폭은 79㎝, 두부높이 65㎝, 두부폭 50㎝, 측면 두께는 30㎝로 장방형의 판석형 화강암으로 되어있음, 현재 광배와 대좌는 확인되지 않으며, 불상의 하부는 30-40㎝ 가량 매몰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은 정면 위주로 조각되어 있고 조각의 깊이가 얕고, 전반적 으로 마모가 심한 상태이며, 전체적으로 신체에 비하여 두부가 크게 조성되어 거의 3등신에 가까운 비신체적인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여주시청자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7ohYC/btsvne1vYwe/vusTvcipSVvT8lZdGQwFZ1/img.jpg)
여주하리삼층석탑(驪州下里三層石塔) 보물 제92호 경기 여주시 여주읍 상리 132 경기도 여주시에 있는 고려시대 일반형 3층 석조 불탑. 석탑. 보물.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7m. 본래 하리의 옛 절터에 서 있었던 것을 1957년 11월에 한강변에 있는 영월루(迎月樓) 밑의 공원 산중턱으로 옮겨 세워 바로 옆의 여주 창리 삼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과 나란히 있다. 석탑의 구성은 신라 이래의 전형적인 일반형 양식을 계승하여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쌓은 방형탑이다. 하층 기단의 구조는 일반적인 형식에 속하는 것으로서 갑석(甲石)은 상면에 현저한 경사를 이루었고 그 중심에 상층 기단 면석을 받기 위한 높직한 2단의 몰딩(moulding: 테두리장식)이 있다. 상층 기단 면석은 4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7M8cq/btsvngLIHY6/r1HpKMcsbORRjBhMMtNLT0/img.jpg)
여주창리삼층석탑(驪州倉里三層石塔) 보물 제91호 경기 여주시 여주읍 상리 132 경기도 여주시에 있는 고려후기 일반형 3층 석조 불탑. 석탑. 보물.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46m. 본래 구 여주읍 과수원 내의 옛 절터에 있었던 것을 1958년 11월에 한강변에 있는 영월루(迎月樓) 밑의 공원 산중턱으로 옮겨 바로 옆의 여주 하리 삼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과 나란히 세웠다. 이 석탑은 2중기단 위에 3층 탑신을 건립하여 일반형 석탑에 속하나, 일반적인 양식과는 다소 다른 기단부가 주목된다. 즉, 기단 밑에 이중으로 여러 장의 석재(石材)를 사용하여 대석(臺石)을 삼고 그 위에 1석으로 된 하층 기단(下層基壇) 면석을 얹었다. 면석 각 면에는 우주(隅柱)나 탱주(撑柱)의 표현이 없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nZJUP/btstr3otFmX/76BsNAg5E89Yv8xZL5bYnK/img.jpg)
남해용문사부도군(南海龍門寺浮屠群) 시도유형문화재 제425호(남해군) 경남 남해군 이동면 용소리 용문사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용문사에 있는 조선후기 역대 승려들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9기의 석조 불탑. 부도. 시도유형문화재. 용문사 일주문에서 100여 미터 아래의 낮은 둔덕에 위치해 있는 9기의 석조 부도군으로, 2005년 7월 21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용문사 부도의 조성 시기는 주로 17~18세기의 것으로 용문사에 주석하면서 업적을 남긴 역대 고승들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것으로 보이며, 부도의 주인공을 새겨 넣어 보존 가치가 높은 문화재로 되고 있다. 모두 조선 후기의 석종형부도 형태로서, 각 부도마다 승려들의 당호가 음각되어 있다. 청하당대사증심(靑河堂大師證心)과 세담당일행대사(洗..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IbCXX/btstxMFJo8b/JcnmKxMlmP5KZMr48kC7y0/img.jpg)
이천 갈산동석불입상(利川 葛山洞石佛立像).경기 이천 2018. 7. 29. 20:14 이천 갈산동석불입상(利川 葛山洞石佛立像) 이천시 향토유적 제7호 이천시 갈산동 76-2 이천시 갈산동과 안흥동 경계지점이 되는 도로변 10m가량 떨어진 부락안 미륵사 보호각에 안치되어 있다. 이 화강암 석불은 조성 당시 상하 두 부분으로 나뉘어 허리 부분에서 연결하도록 조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오래 전 쓰러져 목 . 몸체 .허리부위 등이 떨어진 채 방치되어 있던 것을 1980년경 시멘트 보강으로 현재의 위치에 복원해 놓은 것이다. 머리는 소발(素髮)로 높직하고 위가 편편하여 두건을 쓴 모습과 흡사하고, 상호는 원만하나 양쪽 볼이 약간 비대하여 고려불상의 특색을 지니고 있다. 이마의 큼직한 백호공은 보주(寶珠)를 박았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