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여주시 문화재 (14)
바람처럼 떠나다

여주계신리마애여래입상(驪州桂信里磨崖如來立像) 시도유형문화재 제98호(여주시) 경기 여주시 홍천면 계신리 559 경기도 여주시 흥천면 계신리에 있는 고려 전기의 불상. 높이 2.23m. 1980년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부처울이라고 불리는 마을의 암자인 석불암(石佛庵) 부근에 위치해 있다. 남한강이 바라다 보이는 강변의 높이 4.5m, 넓이 2m 암벽에 양각(陽刻:)되어 있다.원형의 두광(頭光)과 대좌(臺座)가 모두 갖추어져 있으며 상태도 아주 양호하다. 얼굴은 넓적한 방형(方形)이며 뺨에는 살이 많다. 눈·코·입은 정제되어 있어 원만한 얼굴 모습을 이루며, 귀는 길어 어깨에 이른다. 약간 짧은 듯한 목에는 삼도(三道)가 분명하다.소발(素髮)의 머리 위에 육계(肉?:)가 큼직하다. 넓은 어깨 위에..

여주 고달사지 석조(驪州 高達寺址 石槽) 경기도 유형문화재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421-12 석조(石槽)란 돌의 외부를 장방형으로 다듬고, 내부를 완만한 곡선으로 파서 물을 담을 수 있도록 만든 거대한 돌그릇이다.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했으므로 승려들이 거주했던 사찰에서는 필수적인 생활용품이었다. 고달사지 석조는 보원사지 석조와 비슷한 시기인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여주 고달사’는 고려 시대에 왕실의 후원 속에 번창했던 대표적인 선종사원이다. 764년(경덕왕 23)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는데 절터의 금당지에서는 통일 신라 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기단이 확인되었다. 이곳에서는 금당지의 고달사지 석조대좌와 함께 고달사지 부도, 고달사 원종대사혜진탑, 탑비의 귀부와 이수 등 고려시대의 대표적..

여주 고달사지 석조대좌(驪州 高達寺址 石造臺座) 보물 제8호 경기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420-5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고달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대좌.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1.57m. 상대·중대·하대와 지대석을 모두 갖춘 사각대좌로, 현재 그 위에 불상은 없고 하대석 서쪽 면에 약간의 균열과 파손이 있을 뿐 보존 상태는 매우 양호하다. 각 단은 각기 다른 돌을 다듬어 구성하였다. 상대의 윗면은 불상이 놓여져 있던 곳으로 잘 다듬어져 있으며, 1단의 각형 받침이 마련되어 있다. 그 각 면에 다섯 잎, 모서리마다 한 잎씩 모두 24잎의 아래로 복판앙련화문(複瓣仰蓮花文)이 조각되어 있다. 상대 받침은 역계단식 3단으로, 가운데 것은 둥글게 공글렸고 위아래는 각형이다. 중대는 사각형 간..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驪州 高達寺址 元宗大師塔) 보물 제7호 경기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413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고달사터에 있는 고려전기 에 건립된 석조 불탑. 부도. 보물.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4.5m. 기단 위에 탑신을 안치하고 옥개석을 덮은 일반형 승탑으로 기단부에서 특이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기단부는 4매석으로 짜인 네모난 지대석 위에 하대·중대·상대가 차례로 형성되어 있는데, 하대는 방형이고 중대석 상단부터가 8각의 평면을 보이고 있다. 하대는 복련대로서 한 면에 5판씩, 각 모서리에 1판씩, 모두 24판의 단엽(單葉) 연화문이 돌려졌는데, 수법이 매우 정돈되었다. 그 위에 1단의 굄이 있고, 중대석과의 사이에 갑석형의 네모난 각출판석이 얹혀 있다. 중대석은 한 개의 돌..

여주 고달사지 승탑(驪州 高達寺址 僧塔) 국보 제4호 경기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411-1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고달사터에 있는 고려시대 에 건립된 석조 불탑. 부도. 국보. 높이 3.4m.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기단부·탑신부·옥개석 등을 모두 갖춘 전형적인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 승탑이나 상륜부는 완전하지 못하다. 기단은 수매의 판석으로 짜인 8각 지대석 위에 각기 1석씩으로 조성된 굄대를 놓고 그 위에 하대석·중대석·상대석을 얹어 형성하였다. 굄대는 지대석의 8각에 각을 맞추어 놓았는데, 윗면에는 2단의 굄단을 마련하여 하대석을 받치고 있다. 하대석 또한 8각의 모를 맞추었으며 측면에는 각 면 2구씩의 가늘고 긴 안상을 오목새김하였는데, 그 중심에는 지선(地線) 중앙으로부터 올라온 귀꽃 모양..

여주신륵사원구형석조부도(驪州神勒寺圓球型石造浮屠) 경기도 문화재자료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천송동, 신륵사) ‘여주 신륵사’는 남한강 변에 있는 사찰로 고려 후기에 나옹선사가 입적하자 크게 중창되었다. 조선 전기에는 세종 영릉의 원찰로 지정되어 보수와 신축이 이루어졌으며, 그 이후에도 불사가 계속되면서 오늘날까지 법등을 잇고 있다. ‘원구형 석조 부도’는 신륵사의 서편 낮은 능선 아래에 세워져 있다. 원래는 조사당 북쪽의 구릉 너머에 있었는데 1966년 11월에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고 한다. 이 석조부도는 지대석 겸 하대석을 사각형으로 마련하여 중대석을 올렸다. 중대석은 모서리에 연주문 기둥을 세우고, 면석부에는 가운데 부분에 연주문을 가로로 배치하여 상하로 구분한 다음, 그 안에 안상을 표현하였다..

여주 신륵사대장각기비(神勒寺大藏閣記碑) 보물 제230호 경기 여주시 북내면 천송리 282 신륵사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 있는 고려후기 에 건립된 사적비. 보물.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383년(우왕 9) 건립. 높이 1.33m. 신륵사에는 원래 극락보전(極樂寶殿) 서쪽 언덕에 대장각이 있었는데, 그것은 고려 말의 이색(李穡)과 승려 나옹(懶翁)의 문도들이 발원하여 경률론(經律論) 삼장(三藏) 즉 대장경을 인출(印出)·수장하던 집이었고, 이 비는 대장각의 조성에 따른 여러 가지를 기록한 석비이다. 『동국여지승람』권7 여주목불우조 (驪州牧佛宇條)에 신륵사의 다른 이름은 보은사(報恩寺) 또는 벽사(?寺)라는 것과 나옹이 일진당(日眞堂)을 세우고 대장각이 있었음이 기록되어 있다. 즉 이색은 선왕 현릉(..

여주 신륵사보제존자석종비(神勒寺普濟尊者石鐘碑) 보물 제229호 경기 여주시 북내면 천송리 282 신륵사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 있는 고려후기 에 건립된 보제존자 혜근의 탑비. 보물.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379년(우왕 5)에 건립. 전체높이 212㎝, 비신높이 121㎝, 너비 61㎝. 지대석과 3단의 장방형 대석 위에 비신을 얹었는데 상단의 대석에는 연꽃무늬를 새겼다. 비신은 대리석으로 양옆에 화강암기둥을 세워 보강하고, 그 위에 목조건물의 공포와 기왓골을 조각한 옥개석을 얹었다. 신라시대 이래로 귀부와 이수를 갖춘 일반화된 석비 형식이 고려 말기에는 대석과 옥개석으로 변형되기 시작하는데, 바로 이 비가 고려 말기의 석비 형식을 잘 보여준다. 보제존자 혜근은 선교양종의 통합운동을 통해 불교 재..

여주 신륵사 삼화상진영(驪州 神勒寺 三和尙 眞影) 경기도 문화재자료 경기 여주시 복내면 천송리 282 신륵사 본 삼화상진영은 신륵사의 중요 인물인 나옹화상의 정통성을 보여주는 주요한 작품으로 현재 전국 사찰에 전하는 1,000여점의 진영 가운데 데 삼화상 진영은 매우 드물어 자료적인 측면에서는 희귀하나, 조사들의 성품을 부각시키는 전신성이 약하고 제작연대도 불분명하다. *문화재청자료*

여주 청안리 미륵불(驪州淸安里彌勒佛) 지정사항 없음 경기 여주시 점동면 청안리 전체 높이 200cm, 너비 130cm, 두께 60cm이다. 가건물로 된 보호각 내에 있다. 화강암으로 된 입상 앞면에 얼굴과 신체를 조각하였으며 목이 짧고 신체는 머리에 비해 너비가 좁은 편이다. 머리 부분은 원만형(圓滿刑)으로 눈이 둥글고 귀는 어깨까지 닿으며 민머리에 육계가 낮다. 통견으로 된 법의는 어깨에 사선 모양의 주름, 손 아래에 ∨자형 주름이 잡혀 있다. 손바닥을 가슴 중앙부에 대고 수인을 짓고 있으며 왼손은 엄지와 검지를 마주 대고 가운뎃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땅바닥을 향해 편 모습이다. 오른손은 형태가 희미하다. *두디피아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