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관심.호기심 (120)
바람처럼 떠나다
고추나무[Staphylea bumalda] 고추나무과(―科 Staphyle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 산골짝에서 흔히 자란다. 키는 3~5m 정도이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겹잎으로 잔잎 3장으로 이루어져 있고 마주난다. 그중 가운데에 있는 잔잎이 가장 크며 잔잎의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들이 있다. 꽃은 하얀색으로 5~6월에 ..
생강나무 생강나무는 높이 3m 정도의 녹나무과 후박나무속 낙엽활엽관목이다. 이른 봄 인가에 산수유가 노랗게 꽃망울을 터트릴 시기에 생강나무는 낙엽만이 바스락거리는 숲속 바위틈이나 계곡, 메마르고 척박한 숲 언저리,큰 나무 아래 고즈넉이 샛노란 꽃망울을 봉긋봉긋 피워 산길 나그네의 시선을 끄는 숲속의 봄꽃이다. 잎과 가지에서 나는 독특한 냄새가 생강냄새와 비슷하여 생강나무라 하고 매화처럼 일찍 꽃이 피므로 황매목(黃梅木)이라 한다.암수 딴 나무이며 잎의 전개보다 먼저 꽃자루없는 노랑꽃이 우산모양으로 앙상한 가지마다 올망졸망 돋는다. 꽃이 진 후에 선명한 초록색 잎이 돋는다.뫼산(山)자 모양으로 3갈래로 갈라지는 잎,손바닥만한 타원형 잎, 둥근 잎 등 여러 모양의 잎이 한 나무에 있다. 새의 혀(雀舌)만한 ..
보리수나무 충북 괴산 각연사의 보리수 나무 각연사의 비로전 앞에서 만나는 한 그루의 우람한 나무가 바로 불가에서 깨달음을 상징하는 보리수나무입니다 원래 부처가 깨달음을 얻을 때 그늘을 드리웠던 나무로 알려진 보리수나무는 우리나라에서 흔히 보는 보리수나무와는 좀 다릅니..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차나무과(茶―科 Theaceae)에 속하는 상록교목. 줄기 밑동에서 많은 가지들이 나와 관목처럼 자라기도 한다. 수피(樹皮)는 회색빛이 도는 갈색이며 미끈하다. 잎은 가죽처럼 두껍고 어긋나며 앞면은 광택이 나는 짙은 초록색이나 뒷면은 노란색이 섞여 있는 초록색이다. 잎가장자..
자작나무[Japanese white birch] 북부지방의 산악지역에 자라는 자작나무과(─科 Betulaceae)에 속하는 교목. 키는 20m에 달한다 수피(樹皮)는 흰색이며 수평으로 벗겨지고 어린가지는 점이 있는 붉은 갈색이다. 잎은 길이가 5~7㎝인 3각형의 난형으로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요즈음에는 이렇게 남의집 담장너머에 열려 있는 석류를 보기가 쉽지 않다 과일 가게에서 만나볼 수 있는 석류는 크고 붉기는 하다 그러나 거의가 수입산 인지라 이렇게 순수하게 우리의 것을 만나는 것이 즐겁다 아직 덜 여문 석류이지만 어찌나 반가운지 그러나 강렬한 신맛을 생각하면 고개가 흔..
대나무는 풀도 아니요 나무도 아니라고 했습니다 이른바 非木非草 라는 것이지요 한 해 동안 줄기가 자란 뒤에도 죽지 않고 남아 있다는 점은 나무에 가깝지만 나이테도 만들지 않고 해를 거듭하면서 더 굵어진다든가 키가 더 커지는 일이 없으니 풀에 가깝습니다 대나무를 이야기할 때 꼭 짚어볼 이..
배롱나무는 우리나라의 산과 들을 붉게 수놓는 나무 꽃 가운데 대표적인 배롱나무는 모과나무처럼 줄기가 매끈한데 그 줄기가 너무 미끄러워 일본 사람들은 원숭이도 미끄러지는 나무라는 뜻에서 ' 원숭이미끄럼나무' 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 해맑은 표면이 마치 간지럼을 잘 타는 소녀의 피부와 닮아 우리나라의 일부 지방에서는' 간지럼나무' 라고 부르기도 한다 배롱나무는 또한 줄기가 옆으로 넓게 퍼지기 때문에 정원수로 알맞은 나무이다. 가느다란 줄기가 옆으로 넓게 퍼져나갔으니 작은 바람에도 떨리게 마련이다.그래서 배롱나무를 '간지럼나무' 라고 부른다 면서 줄기 한가운데를 간지럼 태우면 나무가 간지러워 가지 끝이 살랑살랑 흔들릴 것이라고 우스갯소리를 하기도 한다 조금만 생각해보면 금새 드러날 거짓말이지만 배롱나무를 처름..

호랑가시나무[Chinese holly] 묘아자(描兒刺)나무라고도 함. 감탕나무과(―科 Aquifoliaceae)에 속하는 상록관목. 호랑가시나무(Ilex cornuta) 키는 2~3m이고 가지를 많이 친다. 가죽질의 잎은 어긋나는데 타원 모양의 6각형으로 광택이 나며 가장자리에 1~20개의 가시가 있다. 향기가 나는 꽃은 4월 하순부터 5월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