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전남 화순 (7)
바람처럼 떠나다

그간의 사정이야 각기 다르겠지만 어쨌건 바빠서 (내 경우엔 지난해 8개월 동안 시험준비에 매달리느라) 못 만났던 친구들 날 풀렸다는 핑계 하나로 바쁜 시간 짬내어 떠나기로 한 여행 오래전부터 찾아 보고 싶었던 강릉으로 계획을 잡고 1박2일의 여정을 준비했는데 영동지방의 대단한 봄눈 소식에 지레 겁먹고 급히 여행계획을 수정해 정한 곳 전남 화순 화순이야 두어번 다녀왔지만 그런들 어떠랴 어차피 쌍봉사나 운주사엔 한 번더 가리라 맘먹고 있었으니... 화순이라면 하루동안의 나들이로 그리 힘들것도 없다고 느낀 것은 운전 번갈아가며 해 줄 친구가 함께했기 때문 화순에서는 쌍봉사와 운주사 그리고 벽나리민불과 한산사터 석탑을 보기로 하고 시간의 여유가 있으면 화순적벽과 조광조 유허지를 찾아보려는 계획으로 출발~ 날씨는..
운주사 와불(雲住寺 臥佛).화순운주사와형석조여래불(和順雲住寺臥形石造如來佛) 시도유형문화재 제273호(화순군) 전남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 세계에서 하나뿐인 유일한 형태의 와불이다.이는 열반상(부처님이 옆으로 비스듬이 누운 상)과는 다르게 좌불(앉은 모습)과 입상(선 모습)으로 자연석 위에 조각된 채로 누워있다.이렇게 좌불과 입상의 형태로 누워있는 부처님은 세계에서 하나뿐이라는 것이다. 이 부처님은 좌불 12.7미터, 입상 10.26미터의 대단히 큰 불상이다.나침반을 갖다대면 거의 정확히 남북으로 향하고 있어 이 천번째 부처님이 일어나면 곤륜산의 정기를 이 민족이 받아 새로운 세상이 열리고 지상 최대의 나라가 된다는 전설이 전해져 온다. 운주사의 좌불은 비로자나부처님이고 옆에 입상은 석가모니불이다.그리고 이..
운주사 석조불감(雲住寺石造佛龕) 원형다층석탑 남쪽 5m 지점에 위치한 이 불감은팔작 지붕 형태로 그 안에 석불좌상 이체(二體)가 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등을 대고 있다. 이 불감에 대해서는『동국여지승람』권사십(券四十) 능성현불우조에『운주사(雲住寺) 千佛山(천불산)…중략(中略)… 우유석실(又有石室) 이석불상(二石佛相) 배이좌(背而座)』라고 언급한 기록이 보인다.동국여지승람의 편찬자가 유독 불감내의 쌍배불에 주목하였다는 것은 쌍배불이 수많은 석불·석탑 가운데 그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서 연유한 것으로 생각된다. 불감의 평면은 방형으로 평평한 기단석 위에 5매의 판석을 이용하여 짜맞춘 단상이 있고,그 위에 1매의 갑석이 있는데 각 면에 13엽(葉)의 앙련이 음각되어 있다.불감 안에는 1매의 판석을 세워..
운주사 구층석탑(雲住寺九層石塔) 중장터로부터 들어오자면 운주사 골짜기의 남쪽 입구에 위치한 최초의 석탑으로 크기가 가장 크고 높으며 거대한 암반위에 건립되어 있는 석탑이다. 별도의 지대석이 없이 암반의 형태에 따라 3~4단의 각형괴임을 암반 자체의 상면에 각출하고 1층탑신의 면석을 받고 있다. 6매의 판석으로 짜여진 각면의 양쪽 귀퉁이에 우주가 모각되고 면석 안쪽에는 보조우주가 뚜렷하게 면석에 모각되어 있다. 면석 재의 구성은 남북면은 2석으로 동서면은 3매석으로 구성하였다. 1층 옥개석의 아랫면에는 옥개받침이 없고 여러겹의 선문이 중앙에서 45도 각도로 옥개석 단부를 향해 기하학적으로 조각되었다.옥개석 네 귀퉁이의 전각 부분에는 반전되어 있으며 모서리에는 추녀부분을 두툼히 조각하였다.낙수면은 평평하여 ..
한산사터 삼층석탑(寒山寺址三層石塔) 문화재자료 제63호 전남 화순군 동복면 신율리 949 이 석탑은 신율리 탑동마을 옆에 있다. 탑 바로 뒤편으로는 해발 339m의 종산이 배경을 이루고 있으며 탑은 개인이 경작하는 밭 가운데에 있다. 지대석 주변으로는 시멘트로 바닥을 처리하고 그 위로..
화순 벽나리 민불(대리석불입상大里石佛立像) 벽나리민불은 찻길에서 보면 뒷모습이 마치 선돌처럼 생겼다 앞으로 돌아가 그 얼굴에 눈을 주는 순간, 보는 사람의 마음에는 천진한 아이를 보는 듯한 편안함이 자리잡는다 동그란 맨머리에 눈시울이 길고 편안한 눈,몽실한 코,부드러운 ..
쌍봉사 철감선사 부도비(雙峰寺澈鑒禪師浮屠碑) 보물 제170호 전남 화순군 이양면 증리 195-1 쌍봉사 철감선사의 부도비로, 옆에 있는 부도와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이다.비신은 없어지고 귀부와 이수만 남아 있다.보물 제170호로 지정되어 있다. 비를 지고 있는 귀부에도 각각 나름의 표정이 있다.이 거북은 청년 거북이라고나 할까매우 씩씩하고 기운차다.탄탄한 목을 거뜬히 뽑아 올리고 각진 눈으로 앞을 쏘아보고 콧김을 내뿜으며 힘차게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오른쪽 앞발은 살짝 들어서 바아흐로 한 발 내디디려는 중이고 다른 발들은 세 개의 억센 발톱으로 땅을 찍어 그러당기고 있다.입에는 여의주을 물었고 정수리에는 뿔을 나타내 듯한 돌기가 있다.비교적 얇은 등껍질에는 두 겹으로 된 육각 귀갑문(龜甲文)이 정연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