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바람소리/조선왕릉 (28)
바람처럼 떠나다

소령원(昭寧園) 사적 제358호 경기 파주시 광탄면 영장리 267외 조선 19대 숙종(재위 1674∼1720)의 후궁이며 21대 영조(재위 1724∼1776)의 어머니인 숙빈최씨의 무덤이다. 숙빈최씨는 최효원의 딸이며 숙종 44년(1718)에 49세로 죽었다. 효심이 지극했던 영조는 최씨의 무덤 근처에다 막을 짓고 무..

경릉(景陵) 헌종과 효현왕후,계비 효정왕후가 나란히 잠들어 있는 경릉은 동구릉의 아홉번째 능이다.용세(龍勢)와 혈증(穴證)이 확실하고,열이면 열이 다 좋다(十全大吉地)는 명당 중의 명당이란다.국상(國喪)을 당해놓고 길지를 열세 군데나 찾아나선 끝에 이곳을 잡았다니 땅주인의 복..

원릉(元陵) 원릉은 휘릉 아래로 내려오면 원릉에 닿는데,정자각 오른쪽으로 3칸짜리 비각 안에 3기의 비가 서 있어 내력이 궁금하다.영조는 생전에 정비 정성왕후 곁에 묻히고자 서오릉의 홍릉에 터를 잡아 두었으나.그 터에 이상이 생겼던지,이곳 계비 정순왕후와 쌍릉에 잠들어 있다.원..

휘릉(徽陵) 조선 제16대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 조씨의 능이다.열다섯 나이에 계비가 되었으며,스물여섯에 남편 인조를 잃고 대비가 되어 효종.현종.숙종대까지 왕실의 어른 조대비로 지냈으나 소생조차 없었다.인조와 정비 인열왕후는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 장릉에 두고,1688년 12월 그 외..

목릉(穆陵) 건원릉 동쪽 언덕에 목릉이 있다.홍살문과 정자각,비각은 하나지만 봉분은 셋이다.왼쪽에 선조를 두고 가운데에 의인왕후 박씨,오른쪽에 계비인 인목왕후 김씨가 누워 있다.이런 경우 3기의 봉분이 나란히 있대서 삼연릉이라 한다. 선조릉은 병풍석에 십이지신상과 구름무늬..

수릉(綏陵) 동구릉 초입에서 건원릉을 오르다 오른쪽에서 처음 만나는게 추존왕 문조와 신정왕후의 합장릉인 수릉이다 봉분 하나에 상석도 하나여서 단릉으로 보기 쉽다 상설물들은 다른 릉과 비슷하나 문인석에 금관조복을 입힌 것과 능 앞의 문.무인석이 한단에 서 있는 것이 색다르..

건원릉(健元陵) 사적 경기도 구리시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 내에 있는 조선 제1대 태조의 능. 건원릉(健元陵)은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 내에 있는 조선 제1대 태조의 능이다. 1408년에 양주 검암촌에 건립하였으며, 이후로 현릉 · 목릉 · 휘릉 · 숭릉 · 혜릉 · 원릉 · 경릉 · 수릉 등 8기의 능이 더 조성되면서 동구릉(東九陵)이라고 부른다. 석실을 갖추고, 병풍석을 둘렀으며, 사초를 함흥의 갈대를 심은 특색이 있다. 병풍석의 조각과 정중석의 설치, 신도비를 세운 것 등이 조선 전기의 특징을 잘 드러낸다. 정자각과 신도비는 보물로 지정되었다. 1408년 5월 24일, 태상왕으로 물러나 있던 태조 이성계가 창덕궁의 별전에서 승하하였다. 터를 양주의 검암(儉巖)으로 정하고, 조묘도감제조 박자청이 공역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