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답사.여행 후기 (207)
바람처럼 떠나다
박물관이나 고궁에 갔을 때 무리지어 단체관람을 온 학생들을 만나면 그날 관람은 엉망이 되고 만다 경주국립박물관 매표소에서 무리지어 떠드는 학생들을 보고 "오늘 관람은 재미없겠구나"였다 역시 짐작했던대로... 뛴다는 표현이 모자랄 만큼 날뛰는 학생들 큰소리로 떠드는 학생들 ..

*사각석등 고려시대의 전형적인 방등형 석등으로 간주석의 한 면에 불꽃 모양의 안상이 새겨져 있다 *돌거북 본디 그자리에 있던 거대한 바위를 다듬어 만들었다 머리 부분이 점점 용의 머리를 닮아가는 나말여초(羅末麗初)의 다른 돌거북들과 달리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돌거북 등에 새겨진 새끼 거북이 자그마한 거북이 두 마리가 어미의 등을 발발 기어오르는 형상으로 새겨졌는데 언뜻 보면 못 알아보기 십상이다 *절터에 부러진채 눕혀져 있는 당간지주 *절터에 있는 당간지주에는 다른 절터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보기드문 연꽃이 소담하게 새겨져 있다 *하늘재 입구의 삼층석탑 통일신라 삼층석탑 양식을 그대로 따른 자그마한 탑이다 산 속의 등대처럼 이정표의 역할을 했으리라 추정된다 풍수 보는 이들에 따르면 미륵리 절터 ..

* 봉황문에서 해탈문으로 향하는 길. 꺾여 올라가는 비대칭의 흐름에 균형감을 부여하는 것은 오른쪽 빈 공간에 자리잡은 국사단이다.균형과 조화,정적과 역동,비대칭적 대칭을 보여주는 고전적 조형 미학의 정수다 *해인사의 중심 구역으로 구광루에서 바라 본 모습이다.탑과 석등,그리고 옛 축대는 변함이 없으나 근래 대적광전을 보수 하면서 지붕을 크게 높이는 바람에 주변 건물들이 압도당하고 있다 *국보 제 32호인 팔만대장경판 어마어마한 정성과 노력이 아로새겨져 있는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 저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대장경판전의 살창 수다라장과 법보전의 앞뒤 벽면의 살창은 그 크기가 다르다.이는 남쪽에서 불어오는 신선한 공기를 잘 받아들여 건물 안에서 원만한 대류작용을 유도하기 위한 구조로 매우 탁월한 기능이 입증되었..
오전 11시 사진기와 참고할 책,찾아가는 길 적은 메모지 그리고 따뜻한 보리차 가득채운 보온병 털옷으로 단단히 무장(?)하고... 하남시와 경기도 광주의 경계지역에 있는 엄미리 그곳 두군데의 장승을 보러 갔는데 장승을 찾기위해 참고했던 책의 길 안내는 그야말로 무용지물 1999년에 초..
11월 22일 小雪이라지만 눈은 내리지 않았다 다행이라고 해야 할까... 아침 6시 집에서 출발 6시 50분 중부고속도로 음성휴게소 .커피한잔 (71Km) 8시 40분 대전.통영간 고속도로 인삼랜드 휴게소.커피한잔 (170Km) 자동차 연료채우고 11시 40분 합천 영암사터 도착.(331Km) 폐사지(廢寺址)라고 하기..
2006년10월 26일 지독한 두통과 함께 다녀온 정암사 왕복 446킬로의 거리 정암사엔 매번 갈때마다 하늘은 잿빛이다 재작년 봄에도 작년 늦가을에도 올해도 어김없이... 적멸궁도 만나고 朱木도 만나고 개회나무도 만나고 다람쥐도 만나고 수마노탑도 만나고 수마노탑앞의 배례석도 만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