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시 남산동 1130
- # 경주시 남산동 227-3
- #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 #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 # 금동반가사유상
-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240
- # 전북 익산시 모현동 1가
- # 중초사지 당간지주
- #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 # 칠곡 송림사전탑
- #'기축'명 범종
- #17세기 불상
- #18세기 중반 불화
- #2017 박물관전시
- #2017국립민속박물관 전시
- #2017년 민속박물관전시
- #7세기 전반 금동불
- #8세기 중엽 석조물
- #9세기 석탑양식
- #大唐平濟國碑銘
- #가을꽃
- #가을나무
- #가장 불쌍한 당간지주
- #각연사 문화재
- #각연사 보물
- #각연사 부도
- #각연사 비지정문화재
- #강릉 관음리석불대좌
- Today
- Total
목록☆~ 절집.절터/경 북 (114)
바람처럼 떠나다
개심사터(開心寺址) 개심사터에는 오층 석탑 외에는 그 어떤 것도 찾을 수 없다.다만 남아 전하는 전설이 있는데 이러하다. 어떤 고명한 도사가 예천을 지나다가 지금의 남산인 잠두산에 올라서 예천의 지형을 바라보니 잠두산이 화기를 품고 소년을 죽일 지형이어서 예천이 발전하지 못..
법광사터(法廣寺址) 사적 제493호 포항시 북구 신광면 상읍리 967번지 일원 법광사는 신라 26대 진평왕 때 세워진 원당사찰(願堂寺札)이었다.창건 당시에는 갖가지 보배로 화려하게 장식하여 왕궁보다도 사치스러웠으며 건물의 칸수를 모두 합하면 525칸이나 되어 불국사와 맞먹는 규모와 ..
장연사터(長淵寺址) 장연사는 언제 세워지고 언제 사라졌는지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이 곳을 두고 미륵불을 주존불로 모시던 흥경사(興景寺)자리라고도 하지만 그도 확실치 않다.다만 절터에 남아 있는 탑의 양식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에 세워진 것이 아닌가 짐작할 뿐. 장연사터에는 ..
*법수사터에 남아 있는 석물들 탑 앞에는 석등의 하대석,뒤편에는 불상의 대좌 그리고 주변 밭둑에는 주춧돌과 통돌을 다듬어 만든 배례석 등이 흩어져 있다 법수사터(法水寺址) 법수사는 신라 애장왕 3년인 802년에 세워진 화엄 사찰이었다.창건 당시에는 금당사(金塘寺)라 했다지만 언..
천축산 불영사(天竺山佛影寺) 경북 울진군 서면 하원리 불영사 주차장에서 내려 1km 남짓 걸어 내려가면 울창한 수풀이 하늘을 가려 어둠침침할 정도이다.구룡교를 건너면 '단하동천(丹霞洞天)'이라고 씌어 있는 바위가 있고 개울가에는 비룡암과 비조암이 있다.거기에서 200m쯤 가면 길 ..
운제산 오어사(雲梯山 吾漁寺) 포항시 오천읍 항사리 오어사가 언제 처음 세워졌는지는 밝힐 길이 없으나 진평왕대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온다.처음의 이름은 항사사(恒沙寺).'항사'란 말을 글자 그대로 풀면 '갠지스 강의 모래알'이라는 뜻이 되지만 불전에서는 흔히 그 모래알처럼 무한..
내연산 보경사 (內延山 寶鏡寺) 경북 포항시 송라면 중산리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의 본사인 불국사의 말사이다. 사명대사의 〈금당기문 金堂記文〉에 의하면 서역승 마등(摩謄)과 법란(法蘭)이 중국에 가져온 팔면경(八面鏡)을 제자인 일조선사(日照禪師)가 황해를 건너 해동 땅에 가..
운달산 김용사(雲達山 金龍寺) 경북 문경시 산북면 김용리 신라 진평왕 10년(588) 운달산(1097m)정상 가까운 곳에 있는 금선대라는 암자에 운달조사가 창건한 운봉사가 그 전신이다 전해 내려 온 괘불의 화기에 보면,1703년 곧 18세기 초까지도 운보앗로 불렸음을 알 수 있는데 어느 때부터인..

천등산 봉정사(天燈山 鳳停寺) 경북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천등산 봉정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이 있는 절집으로 유명합니다.바로 봉정사 극락전이지요.영주의 부석사 무량수전보다 훨씬 오래 전에 지어진 건물입니다.봉정사 극락전은 1972년에 중수하기 위해 완전히 해..